Ecotourism Planning Framework for Korean Rural Communities(I) - A Case Study in Jeongdori, Wandogun, Korea -

농어촌지역의 생태관광지 육성을 위한 계획모형(I) - 전남 완도군 정도리지역에서의 사례연구 -

  • 유기준 (서울시립대학교 환경생태연구실) ;
  • 이경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 ;
  • 오구균 (호남대학교 조경학과)
  • Published : 1998.04.01

Abstract

Ecotourism has surged from conflicts between negative impacts of mass tourism and environmental issues. As an alternative tourism, ecotourism compromises extensively environmental, economic, educational, and cultural concerns. Ecotourism can be defined as environment-based tourism that ensures sustainable growth and development through conservation of natural and human environment, promotion of regional economy, and provision of tourism service in natural environment areas. Ecotourism should consider two key challenges; an effective means that may protect local economy through tourist-based income and improvement of residential circumstances, and role as leisure space that can improve tourist's experien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mmarize ecotourism concepts through literature search and develop an ecotourism planning framework for Korean rural communities. In addition, developed planning framework in this study was applied to Jeongdori area, Wandogun, Korea as a case study in order to analyze its feasibility. A trial application in Jeongdori area demonstrated a possibility that ecotourism planning framework can be successfully adopted to a wide range of Korean rural communities. To ensure objectivity of framework, systematic case studies must be done in the future.

생태관광은 기존의 대량관광의 폐해와 환경문제의 갈등으로부터 탄생된 대안관광의 한 형태로서 환경, 경제, 교육, 문화 등의 요소들을 광범위하게 포함한다. 생태관광은 자연환경 지역에서 자원의 보호, 보존, 지역경제의 활성화, 수준 높은 관광서비스 제공을 통하여 지속 가능한 개발을 구현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인 관광으로 정의할 수 있다. 친환경적인 관광산업으로서 생태관광은 지역환경 개선 및 소득증대 효과를 통한 농, 어촌지역의 활성화 수단으로서 또한 도시민들에게 양질의 관광, 휴양기회를 제공함으로써 국민의 여가욕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공간으로서의 역할을 기대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생태관광 이론적 고찰을 통해 생태관광 개념을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 나라 농, 어촌지역의 생태관광지 개발에 적합한 계획모형을 제시하였다. 이와 함께 전라남도 완도군 정도리지역에 계획모형을 적용하는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사례연구를 통해 본 생태관광 계획모형은 농, 어촌지역의 생태관광지 조성에 있어 실제적인 계획과정으로서 가능성을 보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