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basic study on the historical description for the cityscape identity ; The image of cheongju in the archaic texts of geography

  • 발행 : 1998.10.01

초록

It has been recognized that the cityscate identity is a very important factor in a modern city. It is necessary to have a variable view to urban comunities for understanding the cityscape identity. We have investigated the contents of archaic texts such as the geography for tracing a cityscape identity to its origin in a city. Because it has been written about politics, economics and culture of a specific area in the geography based on deep interest to the city, we can look into the early image of the cityscape closely after searching of archaic texts. It is also significant to stdy with archaic texts of geography since these studies have a correlatio to the understand of an area and the keeping of historical conscious which are fundamental of cityscape identity. We have studieds on the area of Cheongju from the middle of Chosun dynasty to the end of this kingdom, since that many geographies were described those days. It was selected "Go-Reo-Sa" and "Se-Jong-Sil-Lok" Geography, "Sin-Jeung-Dong-Guk-Y대-Ji-Seung-Lam" "Dae-Dong-Ji-Ji" "Dong-Guk- Yeo-Ji-Ji", "Jeug-Bo-Mun-Heon-Bi-Go Yeo-Ji-Go", and "Taek-Li-Ji", as archaic texts of geography because these texts described in detail about city and gave a clue to speculate an image of city.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1) It was described about the cityscape in those archaic texts are metaphysical image, existing and usable elements of cityscape, lost resources of cityscape. 2) The metaphysical images are neither objective nor consistent in the each archaic texts. But the metaphysical image of old city suggests good insight for the application to the modern city image. 3) It is necessary to the careful onsideration about the existing elements. 4) There are variable programs about the lost resources of the cityscape, in accordance with the possibility of the restoraton. 5) The physical and visible factors and non-physical and invisible factors are equally important elements of the cityscape identity. Our research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in detail how those factors of cityscape identity have changed with the changes of the times, and how those factors affect the modern cityscape identity.

키워드

참고문헌

  1. 韓國圖書解題 高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2. 高麗史 v.5 사회과학원(북한) 고전연구소 고전연구실(譯)
  3. 일본과 부산의 도시경관계획사례 지방자치 시대의 도시와 환경 김승환
  4. 한국조경학회지 v.18 no.4 쾌적한 도시환경의 창출을 위한 도시어메니티 구조의 해석에 관한 연구 김승환;변문기
  5.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한국 도시경관의 변천 특성에 관한 연구 김한배
  6. 우리도시의 얼굴 찾기 김한배
  7.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v.28 no.4 도시경관연구의 실증적,인간주의적 측면 김한배;이규목
  8. 한국조경학회지 v.21 no.4 동양적 세계관에서 본 한국도시경관의 특성 김한배;이규목
  9. 大東地志 김정호
  10. 세종장헌대왕 실록 지리지 解題 국역 세종장헌대왕 실록지리지 노도양;세종대왕기념 사업회(編)
  11. 여지고 解題(세종대왕기념사업회編, "국역 증보문헌비고 여지고") 노도양
  12. 東國興地志 아세아문화사 원본영인
  13. 세종장헌대왕실록 v.24 세종대왕기념사업회(譯)
  14. 신증동국여지승람 v.15 민족문화추진회(譯)
  15. 알기쉬운 옛책풀이 양태진
  16. 국사백과사전 柳洪烈감수
  17.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도시상징성의 역사적 변천에 관한 연구 이규목
  18.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4 no.1 인간과 환경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방법연구 이규목
  19. 都市와 象徵 이규목
  20. 大東地志解題 大東地志 이병도;김정호(編)
  21. 도시문제 v.21 no.6 우리나라 도시내 역사적 공간형성의 과정과 현실 이상구
  22. 全國地理志 解題 全國地理志 李成茂;한국학문헌연구소(編)
  23. 한국조경학회지 v.22 no.2 경관선호와 평가에 있어서 개인적 차이 및 유사성에 대한 이해와 그 중요성에 관한 고찰 이영경
  24. 한국조경학회지 v.24 no.4 경관의 의미와 경관평가에 관한 연구 이영경
  25. 택리지 이중환;허경진(譯)
  26. 경관분석론 임승빈
  27. 한국조경학회지 v.23 no.1 擇理志의 景觀論的 硏究方向의 摸索 전미경;정기호
  28. 한국조경학회지 v.17 no.3 擇里志의 文意的 考察 정기호
  29. 한국조경학회지 v.21 no.3 擇里志의 景觀論的 考察 : 卜居總論 "山水"를 중심으로 정기호
  30. 택리지에 나타난 이중환의 실학사상 擇理志 조기영;허경진(譯)
  31. 한국조경학회지 v.25 no.4 한국도시경관의 새로운 파라다임 조정송;황기원;박재길
  32. 增補文獻備考 v.21;39 세종대왕기념사업회(譯)
  33. 도시지역환경 최병두
  34. 한국조경학회지 v.17 no.1 景觀의 多義性에 관한 考察 황기원
  35. 한국문화예술진흥원 문화발전연구소 보고서 도시환경의 문화적 정체성 연구-도시 문화환경 개선방안 연구 유병림;황기원
  36. 한국조경학회 지방화시대의 도시 정체성 회복과 조경의 과제를 위한 세미나 발표 논문집 도시의 정체성과 쾌적성 황기원
  37. City Sense and City Design : Writings and Projects of Kevin Lynch Banerjee T;M. Southworth(eds)
  38. Out of Place : Restoring Identity to Regional Landscape Hough 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