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nomial Sampling Plan for Estimating Tetranuchus urticae(Acari: Tetranychidae)Populations in Glasshouse Rose Grown by Arching Method

아치형 재배 시설장미에서 점박이응애의 이항표본조사법 개발

  • 조기종 (고려대학교 농생물학과) ;
  • 박정준 (고려대학교 농생물학과) ;
  • 박흥선 (한국외국어대학교 통계학과) ;
  • 김용헌 (농업과학기술원 작물보호부 농업해충과)
  • Published : 1998.12.01

Abstract

Infestations of two spotted spider mite (TSSM), Tetranychus urticae Koch, on glasshouse rose (Rosa sp.) grown by an arching method, were determined by counts of the number of TSSM per leaflet in Buyeo, Chungnam Province, for a 2-yr period. Binomial sampling plan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ean density per leaflet (m), and proportion of leaflets infested with ( T mites (PT), according to the empirical model In (m) = a+p In (-ln (1 -PT)). T was defined as tally threshold, and set to 1, 3, 5, 7, and 9 mites per leaflet. Increasing sample size had little effects on the precision of the binomial sampling plan, regardless of tally threshold. However, the precision increased with higher tally thresholds. There was a negligible improvement in precision with T ) 7 mites per leaflet. T= 7 was chosen as the best tally threshold for estimating densities of TSSM based on the precision of the model. Independent data set was used to evaluate the model. The binomial model with T= 7 provided reliable predictions of mean densities of TSSM observed on the commercial glasshouse roses.

충남부여에 위치한 임업화훼단지내의 유리온실에서 아치형재배(Arching method)장미에 피해를 주는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 Koch)의밀도를 엽당 응애수로 조사하였다. 이항표본 조사법은 엽당 점박이응애의 평균밀도(m)와 점박이응애가 T 개체보다 많이 존재하는 엽의 비율(${P}_{T}$)과의 관계를 기본으로 하며, T는 경험적 이항분포모형(ln(m)=$\alpha$+$\beta$1n(-1n(1-${P}_{T}$)))에서의 tally threshold 로서, 본 실험에서는 1, 3, 5, 7, 9를 사용하였다. 일반적으로 표본단위 수의증가는 T와 상관없이 이항분포 모형의 정확도에 영향을 거의 주지 않게 된다. 본 실험에서는 상이한 T에 따라 이항분포모형의 정확도가 차이가 났으며 T가 증가할수록 정확도가 높아졌다. 본 실험결과 점박이응애의 밀도추정을 위한 이항분포모형의 정확도를 비교한 결과, T=7인 경우가 최적의 tally threshold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항분포조사법의 검정을 위하여, 동일한 포장의 독립적인 표본을 추출, 조사하였다. 본 실험결과 이항표본조사법을 이용한 상업적 유리온실의 아치형재배 장미해충인 점박이응애 평균밀도 추정에는 T=7인 경우가 가장 적절한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