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study in detection of perioperative myocardial infarction by serial ECGs and the analysis of risk factors involved was carried out from January 1994 to July 1996 on 87 consecutive patients undergoing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ean CK-MB peaks and frequencies of flipping in LDH1/LDH2 among the 3 groups(group I: new Q-wave, group II: S-T change, group III: no ECG change). The ECG was considered positive for postoperative myocardial infarction if the new Q-waves appeared in the postoperative period or if S-T segment changes persisted for more than 48 hours. The hospital mortality rate was 3.3% and the perioperative infarction rate was 17.2%. The following risk factors of the perioperative MI were found: endarterectomy, decreased ejection fraction($\leq$40%) and prolonged aortic cross clamping time. Left main disease, triple vessel disease, 3 or more graft, unstable angina and hypertension did not correlate with myocardial infarc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serial ECGs could be used as means of detecting the perioperative myocardial infarction after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1994년 1월부터 1996년 7월까지 관상동맥 우회로 이식술을 받았던 87명을 대상으로 수술후 심근경색의 진단에 있어서 심전도 검사의 가치를 평가해 보았고 심전도에 의해 진단된 심근경색의 위험인자에 대해 조사하였다. CK-MB 최고치의 평균과 LDH1/LDH2의 비가 1이상인 경우의 빈도는 new Q파군, ST변화군 및 심전도상 변화가 없는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심전도상 new Q파 또는 48시간이상 지속되는 ST절 변화가 있을 때 심근경색으로 진단하였다. 병원 사망률은 3.3%이며, 술후 심근경색 발생률은 17.2%였다. 술후 심근경색의 중요한 위험인자들은 1) 관상동맥 내막절제술, 2) 좌심실 박출계수의 저하(ejection fraction 40%이하), 3) 대동맥 차단시간의 연장이었고, 좌주관상동맥 질환, 3혈관 질환, 이식혈관이 3개이상인 경우, 불안정형협심증 및 고혈압 등은 술후 심근경색 발생과 연관성이 없었다. 이상에서 관상동맥 우회로 이식술후에 발생하는 심근경색의 진단에 심전도 검사는 유용한 방법이 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