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ase study on variation of the coefficients K and n with proceeding of blasting works at the felsite zone

규장암지역에서 발파공사중 K 및 n의 변화에 대한 연구

  • 안명석 (기술사 사무소 G&B) ;
  • 박종남 (동아대학교 공과대학 자원공학과)
  • Published : 1998.12.01

Abstract

A case study was made on in site vibration velocity data collected for two months in the construction area of the Daeduck cultural City Hall. Taegu The geology over the area shows distributions of weathered and some crack developed hornfels of mud-shale in the upper part, underlain by less weathered and hard compact quartzite. For the period of 2 months of blasting event, the vibration velocities were measured and these data were analysed for K and n for three different period the test period, first month and second month. The data for the test period show that K and n are 2464 and 1.621 with the cube root method, and 7154 and 1.791 with the sqare root one, respectively. The data for the first month collected mostly from blasting in the upper hornfels show that K and n are 1668 and 1,492 for the cube root and 1219 and 1,366 for the square root, respectively. Such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K and n values from the test period through the first month for the weathered and comparatively well crack developed rocks hard and compact lower quartzite, may be due to difference in attenuation of waves propagating through physically different media. Therefore, for more effective safety design and blasting, it seems that it may be n to adopt appropriate K and n values, with getting lower step by step while proceeding the operation. In the meantime, the attenuation rate of K and n together with SD cross point for the cube and square root methods indicates that the cube root one appears to be more applicable than the square root for this area with limited distance(The maximum is 100m).

본 보고서는 대구광역시 대덕문화전당 신축공사장의 터파기 발현 현장에서 2개월간 시행한 발파 및 진동측정 사례를 분석하였다. 대상 지질은 상부에서는 호온펠스호한 세일.이암이 분포하며, 관입된 규장암질이 하부기반암을 이루고 있다. 2개월간의 발파작업 기간동안 수조 위에서 측정된 진동측정 데이터를 기간별로 2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K 및 n을 구하였다. 이에 시험발파의 발파진동치를 분석하였을 때 K 및 n은 삼승근의 경우 2464와 1.621, 자승근의 경우 7154과 1.791이었고, 주적발파진동치를 분석하였을 때 K 및 n은 삼승근의 경우 1668와 1.492, 자승근의 경우 1219과 1.366이었다. 이러한 시험발파 및 본 발파진행에 따른 K 및 n의 자이는 진동파가 매질을 통해 전파되면서 풍화 및 절리가 비교적 많고 강도가 비교적 약한 상부 풍화암 내지 연암충에서 풍화 및 절리가 비교적 적으며 강도가 강한 하부암반으로 발파가 진행되면서 진동전파에 따른 감쇠현상의 차이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그러므로 공사진행 도중 더욱 정밀한 안전설계 및 안전발파를 위해서는 발파작업진척도에 따라 K값의 단계별 감소적용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며, 자승근 환산거리와 삼승근 환선거리에서의 K 및 n의 감소율과 SD 교차점을 분석해 보았을 때 본 현장의 경우는 삼승근 적용이 자승근 적용보다 더욱 합리적이라고 판단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