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부고속철도 건설에 따른 국토동남권 공간구조 변화과정의 분석과 전망 -경부고속전철 경주역이 울산시 공간에 미치는 영향-

A forecasting and analysis on the changing process in the spatial structures of southeast region in accordance with development of Seoul-Pusan High Speed Railway -A effects on Ulsan spatiality by Kyongju station of HSR-

  • 김성득 (울산대학교 토목환경공학부) ;
  • 최양원 (양산대학 교통물류정보과)
  • 발행 : 1998.12.01

초록

본 연구에서는 국토동남권의 인구와 고용에 따른 공간구조 변화과정을 분석하고 향후 경부고속철도 건설에 따른 변화를 예측하였다. 본 연구의 공간범위는 양산시, 울산시, 경주시, 포항시를 대상지역으로 한 총 52개 지역공간을 기초분석 단위로 하였다. 국토동남권내 인구와 고용의 공간구조를 분석 전망하기 위하여 공간구조 측정방법인 로렌쯔곡선측정식, 중심성측정식, 접근도측정식등의 기법을 이용하였으며 공간적 집중과 분산의 정도를 전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970년부터 1994년까지 인구와 고용구조를 조사하여 공간구조의 변화과정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현재까지 계획된 건설 공정을 바탕으로 개통 예정시점인 2006년부터 2016년까지의 국토동남권 공간구조를 전망하기 위하여 3가지 시나리오에 따라 인구와 고용의 공간구조 변화를 예측하였다. 시나리오(1)은 경부고속철도의 서울-대구 구간을 우선적으로 건설하여 운행하고 대구-부산 구간은 경부철도의 기존선을 전철화하여 활용하는 방안이다. 시나리오(2)는 경부고속철도를 기본계획과 같이 2006년 완공하고 국토동남권내 1개 정차역인 경주시 건천역을 개통하였을 경우이다. 시나리오(3)은 시나리오(2)와 같은 조건하에서 국토동남권내 2개 정차역인 건천역과 울산역을 개통하였을 경우이다. 시나리오 (2)와 (3)의 경우는 일본 시즈오카현 노선을 경유하는 신간선 주변의 지역공간 특성이 우리나라 국토동남권과 유사함을 근거로 신간선개통전과 개통후의 지역공간 변화를 분석하여 본 연구와 비교하였다.

키워드

참고문헌

  1. 정책세미나 고속철도 경주노선의 타당성 재평가와 정책 과제 동국대 지역정책연구소
  2. 대한국토도시 · 계획학회 v.30 no.4 고속전철건설에 따른 수도권 공간 구조의 변화과정 분석과 전망 김광식
  3. 경부고속전철 경주역이 울산 시공간에 미치는 영향 김성득
  4. 장기기본 계획보고서 울산시;양산시;경주시;포항시
  5. 고속철도건설과 지역균형개발 전략 일본에 있어서의 신간 선에 의한 국토재편성과 도시개발 사도 싱에루
  6. 광공업 통계조사보고서(1980-1994) 통계청
  7. 일본통계연보 일본통계청
  8. 지역분석을 위한 계량적 접근방법 국토개발연구원
  9. 울산시, 양산시, 경주시, 포항시 통계연보 (1970-1994)
  10. 운수백서 일본운수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