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경이후 경과시간에 따른 골성숙도의 변화

THE STUDY OF THE CHANCES IN SKELETAL MATURITY ACCORDING TO THE TIME PASSED FROM MENARCHE

  • 이성자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치과교정학교실) ;
  • 정규림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치과교정학교실) ;
  • 박영국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치과교정학교실)
  • Lee, Sung-Ja (Department of Orthodontics, Graduate School, Kyung Hee University) ;
  • Chung, Kyu-Rhim (Department of Orthodontics, Graduate School, Kyung Hee University) ;
  • Park, Young-guk (Department of Orthodontics, Graduate School, Kyung Hee University)
  • 발행 : 1998.06.01

초록

경희의료원 치과병원 교정과에 내원한 부정교합자 중 전신 건강 상태가 양호한 123명의 좌측 수완부골 방사선 사진을 이용하여, 초경과 골격성숙도간의 상관관계를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초경 발현 연령은 평균 12.31세, 최소 9.6세, 최고 15.6세로 개체간 변이가 심하였다. 2. 초경시 골성숙 상태는 SMI 7,8단계($73\%$), 즉 제5중절골의 골단이 골간을 둘러싸거나 제3말절골의 골간과 골단이 융합되는 단계이며, 초경시의 골격성숙도는 초경 발현 연령에 관계없이 일정하였다. 3. 골성숙단계에 따른 초경 후 경과기간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요골의 융합은 초경 후 평균 1년 8개월이 지나면 시작되었다. 5.초경 발현 연령에 따른 성장 속도의 비교에서, 만기성숙아(초경을 늦게 경험하는 여아)는 초경 후 14개월이 지나면 요골의 융합이 시작되었고, 조기성숙아(초경을 일찍 경험하는 여아)는 초경후 22개월, 평균성숙아는 초경후 20개월이 지나면 요골의 융합이 시작되었다.

The 123 left hand-wrist radiographs and menarcheal ages attained by direct questioning to patients or her mothers are used, in order to exploi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one maturity and the menarcheal age of girls in adolescenc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ean age at menarche was $12.31{\pm}0.99$. 2. The onset of menarche occurred at SMI 7 and SMI 8 ($73.33\%$). The onset of menarche was correlated with skeletal age rather than chronological age. 3.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ime passed from menarche according to skeletal maturity level. 4. The distal epiphyseal union of radius began at about 20 months after menarche. 5. In comparision of the time intervals from menarche to radial epiphyseal fusion among early, average, and late menarcheal age groups, late group had lesser time interval than other two group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