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udies of Commensal Bacterial Flora of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in Hadong Area

하동 지역에 서식하는 바지락의 미생물총 분포에 관한 정량 및 정성적 분석

  • Kim, Myoung-Sug (Department of Aquatic Life Medicine, College of Fisheries of Science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Park, Jun-Hyu (Department of Aquatic Life Medicine, College of Fisheries of Science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Ha, Jai-Yi (East Sea Fisheries Research Institute,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Agency) ;
  • Huh, Min-Do (Department of Aquatic Life Medicine, College of Fisheries of Science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Huh, Sung-Hoi (Department of Oceanography, College of Marine Science and Technology,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Jeong, Hyun-Do (Department of Aquatic Life Medicine, College of Fisheries of Science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김명석 (부경대학교 수산생명의학과) ;
  • 박준효 (부경대학교 수산생명의학과) ;
  • 하재이 (국립수산진흥원 동해수산연구소) ;
  • 허민도 (부경대학교 수산생명의학과) ;
  • 허성회 (부경대학교 해양학과) ;
  • 정현도 (부경대학교 수산생명의학과)
  • Published : 1998.12.30

Abstract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 of the natural commensal flora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tissues of clam in Hadong area were studied under varying conditions of growth media and incubation temperatures. Total numbers of bacteria present in intestinal tract, gill, body fluid and surrounding mud were found to be not influenced by the used BHIA, STA and SNA media. Although the growth rate of bacteria at the condition of $15^{\circ}C$ incubation temperature was slower than that of $25^{\circ}C$ and $35^{\circ}C$, it showed the highest number of total bacteria compared with other two different conditions of incubation temperature. Interestingly, the proportion of bacteria able to form colony on several selective media was higher in replica analysis from nutrient media to selective media than that in direct smearing from samples. The generic diversity of bacteria isolated from the tissues and analyzed by API 20E and API 20NE kit showed similar pattern with each other and distinct from that of environment. The distribution of bacteria in the surrounding mud or mantle fluid of clam indicated a high diversity comparable to that found for the gill or intestinal tract microflora, with Pseudomonas being the prevalent group. It implies that the tissues of clam may probide a selective habitat for a commensal microflora.

바지락 조직과 주변 환경에 있는 세균의 특성과 분포를 여러 배지와 온도 그리고 생화학적 동정 kit를 사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장내, 갯벌, 아가미 그리고 외부체액에 있는 미생물의 집락수는 사용한 BHIA, STA 그리고 SNA 배지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15^{\circ}C$ 배양조건에서의 증식속도는 $25^{\circ}C$$35^{\circ}C$의 조건에 비해 느린 것으로 나타났으나 총 세균 집락수는 $15^{\circ}C$에서의 것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영양배지에서 자란 세균집락을 무작위적으로 선택배지에 옮기면 조직 시료를 직접 도말 한 경우에 비해 높은 비율로 집락형성을 하는 것을 보여 주었다. API 20E와 API 20NE를 사용하여 각 장기 또는 외부에 있는 세균의 종류를 동정한 결과 바지락 조직간에는 서로 유사한 종의 분포를 보이나 주위 환경이 되는 갯벌이나 외부체액에 있는 미생물군의 종류와는 다르게 나타났다. 바지락 주위의 갯벌이나 외부체액의 미생물군은 Pseudomonas 가 주종을 이루고 있는 조직내의 미생물군에 비해서 훨씬 높은 다양성을 보여 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바지락 조직이 주위 환경중의 세균에 대한 선택적 친화력이 있음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과학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