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Evaluation of Program Management and The Needs for Outside Support in Korean Voluntary Sector

한국 자원봉사활동의 관리운영 실태평가와 지원욕구

  • 김동배 (연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조학래 (침례신학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최재성 (연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최선희 (연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Published : 1998.08.1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provide implications for improvement of Korean voluntary sector, by analyzing of program managers' subjective evaluation of voluntary program management and of their view of the needs for outside supports. For this, researchers selected 600 agencies, which are found to have a staff in charge of voluntary programs, and sent a questionnaire by mail. Those agencies are consisted of the following three. areas: social services, civil movement, public sector. The response rate was 65%, and researchers analyzed 382 respondents out of 391, besides those who did not complete the form in full. One of the results was that program managers' subjective evaluation score of overall voluntary program management was 51 points in the perfect score of 100 points. The voluntary program management was consisted of the following six areas: recruiting, job placement, public relations, education(training), program development, and. information system Specifically, program development and information system appeared to be worse than the other areas, and this fact was true in all three types of agencies of social services, civil movements, and public sector. Moreover, program managers in public sector showed that outside supports for voluntary programs (or activities) was more desperately required. Based on the results, researchers concluded that, toward the improvement of voluntary programs, professionalization as well as legal supporting system, networking, and national supporting institution were required.

본 연구의 목적은 자원봉사담당자들이 보는 우리 나라 자원용사실태에 대한 주관적 평가와 자원봉사관련단체의 지원욕구를 분석하며 자원봉사활동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의 사회복지관련기관, 시민운동단체, 정무관련단체 가운데 자원봉사담당자가 근무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 600개소를 선정하여 이들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우편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모두 391개의 설문지를 회수하여 회수율이 65%였고, 이 가운데 응답이 부실한 9명을 제외한 382명에 대해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자원봉사실태에 대한 주관적 평가는 모집, 홍보, 업무배치, 교육훈련, 영역개발, 정보체계의 6개 영역을 대상으로 16개 문항으로 측정되었고, 100점 만점으로 환산하였을 때, 자원봉사담당자들이 보는 우리 나라 자원봉사체계의 평가점수는 낙제수준인 51점으로 나타났다. 특히, 영역개발과 정보체계의 부문이 더욱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현상은 사회복지, 시민운동, 정부관련단체 등 기관의 성격과 관련없이 대부분의 자원봉사관련기관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더하여서, 정부관련단체에 근무하는 자원봉사담당자들의 경우 자원봉사에 대한 정부의 지원과 일반적인 외부의 지원이 더욱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응답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근거로 우리 나라 자원봉사활동의 활성화를 위한 전제조건으로 법적지원체계구축, 자원봉사활동의 전문화, 관련기관간의 연계체계구축, 전국적 중앙조직을 통한 리더쉽의 발휘 등을 제시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