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for Viable Alternative for the Korean Occupational Welfare System at the Crossroad

전환점에 서있는 한국기업복지제도의 한 대안으로서 근로자협조프로그램의 적용성에 관한 연구

  • 김의명 (대구대학교 산업복지학과)
  • Published : 1998.11.25

Abstract

There is a general consensus that fate of the differentiated welfare state had fallen into the brink of demise during the 1970s while the integrated welfare state model has emerged instead. Indications are all that such trend spotlights occupational welfare which has been relatively neglected, especially,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Nevertheless, the occupational welfare system in Korea faced crisis due to two major incidents. One is the IMP crisis which necessitates massive scale of restructuring of the general fabric of the Korean business and industry. There is little doubt that the economic crisis will surely cut down occupational welfare expenditure substantially. The other is a report released by the Korean Labor Research Institute which argus that there is no correlation between the Korean occupational welfare system and labor productivity. Thorough investigation of the Korean occupational welfare system suggests that current system is so outdated that it doesn't meet needs of the industrial workforce which, in turn, fails to enhance workers productivity. Consequently, a need for new paradigm and system arises and employee assistance program(EAP) emerges as a viable alternative. EAP is thoroughly delianeated of it's definition, motivations, functions, ingredients, historical background as well as cost-effectiveness. But major tasks center around an investigation and an analysis of it's applicability. In-depth analysis was carried out on the issue of it's indispensable natures and stumbling blocks on the way to lay it's root in the Korean industrial environment. It seems harder than the herculean task. However, EAP is not simply an alternative but is rather a pressing imperative for the present occupational welfare system in Korea which stands at the crossroad.

20세기 말기에 접어들면서 선진국가의 복지구도가 경제와 사회분야가 분리지향적이며 국가단일주도형 복지국가에서 통합지향적이며 민관공동 주도형태로 전환하는 추세 속에서 기업복지의 중요성은 점차적으로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한국기업복지제도는 자체의 생산성향상기능이 의문시되면서 IMF의 개입으로 인해 야기된 산업분야의 전면적 구조재조정의 여파 속에서 위기를 맞고 있다. 한국기업복지제도가 기업복지의 대상인 근로자의 수요, 욕구, 기호 등을 도외시한 채 사용자의 편의 위주로 무분별하게 제공되어온 기업복지는 근로자의 사기진작이나 직무만족도 향상을 통해 생산성을 높이는 기능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그것은 기업복지무용론으로 직결되는 현실에 처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과학적이고 체계적이며 수혜자위주의 진일보한 기업복지제도로서 근로자협조프로그램이 본 논문에서 실제적 대안으로 제시되었으며 그 프로그램의 정의, 실시동기, 기능, 주요요인, 모형이 소개되었고 역사적 변천배경과 경제적 효율성(비용효과)이 상세히 기술되었다. 근로자협조프로그램의 설립 필연성과 적절성에 대해 심도있는 분석이 가해졌으며 미래의 대안이 구체적 목표로 자리잡기 위해 수행해야 할 과제가 제시되었다 이러한 노력은 갈림길에 서 있는 한국기업복지제도에 새로운 돌파구를 마련해 줄 뿐만 아니라 사회복지계 전체분야를 활성화하는 효과가 있고 여태까지 소홀히 취급되었던 분야를 다시 개척함으로서 사회복지계에 새로운 지평을 열고 넓히는 의미가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