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포성숙호르몬이 감마선 조사된 미성숙 생쥐 난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on ${\gamma}$-Ray Irradiated Immature Mouse Ovarian Follicles

  • 발행 : 1998.06.30

초록

뇌하수체 분비호르몬인 FSH의 방사선방어 효능을 조사하고자 생후 3주된 미성숙 생쥐에 $\gamma$ 선을 전신조사하거나(R), 전신조사 후 FSH 5 IU를 복강주사(RF)하였다. 대조군은 동량의 식염수를 복강주사하거나(C) 혹은 FSH를 복강주사(F)하였다. 0시간, 6시간, 12시간 1일, 2일, 4일, 그리고 8일 후에 각 군별로 5마리씩 경추파열로 도살한 후 난소를 채취하였다. 난소는 neutral buffered formalin에 고정한 후 통상적인 표본조직을 만들었다. HE 염색을 기본으로 면역조직화학염색을 비교하였으며 전체 DNA를 추출하여 agarose gel 전기영동을 실시하여 DNA fragmentation의 정도를 알아보았다. 방사선 조사군인 R군과 RF군에 있어서 6시간에서 12시간에 apoptosis를 반영하는 면역조직화학적 염색률이 높게 나타났으며, 8일 경과시 분열세포의 존재비를 반영하는 염색률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DNA fragmentation의 정도를 보면, 모든 실험군에서 185bp의 DNA ladder가 시간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370bp의 DNA는 R군의 경우 6시간에 나타났으며 1일 이후 감소하였다. RF군의 경우 12시간에 나타나 1일 이후 감소하였다. F군에서는 370bp가 보이지 않았다. 본 실험의 결과, 강소형성 난포가 피폭되는 경우 4일 이후 8일에 이르러 난소내에서 완전히 소멸되고, 8일에 새로운 원시난포가 성장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FSH는 방사선에 피폭된 난포의 퇴화를 지연 혹은 억제시키는 방사선방어 효과가 있었으며, 방사선에 의한 난포의 퇴화는 과립세포의 apoptosis를 매개로 하여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To assess the radioprotective effects of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FSH) on ovarian follicles, 3 week-old female mice were irradiated with 8.33 Gy of ${\gamma}$-ray (group R) and followed by 5 IU ip-injection of FSH (group RF). For control groups, 5 IU of saline (group C) or 5 IU of FSH (group F) was ip-injected. Ovaries were collected 0h, 6h, 12h, 14, 2d, 4d, and 8d after irradiation or saline/FSH injection, and followed by fixation in neutral buffered formalin for routine histochemistry. Immunohistochemistry was used to assess the status of follicles and DNA fragmentation was analyzed by agarose gel electrophoresis for total DNA. Staining specific for apoptotic follicles showed high intensity at 6h and 12h in group R and RF On the other hand, staining specific for proliferating follicles showed noticeably high intensity at 8d in group R and Rf. DNA fragmentation of 185bp increased with time in all experimental groups. Especially 370bp appeared at 6h in group R, then disappeared after 1d. In case of group RF, it appeared at 12h and disappeared after 1d. From the above results, the irradiated antral follicles become completely disappeared from 4d to 8d, and then new follicles started to grow again at 8d. FSH had delaying or suppressing effects on follicular atresia after irradiation. In addition, it became clear that radiation-induced follicular atresia was mediated by granulosa cell apoptosi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