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ganically Bound Tritium in the Plants after Acute HTO Exposure

HTO 피폭후 식물의 조직결합수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1998.03.30

Abstract

Tritium is released into the environment as various form but HTO is most relevant to the incorporation of tritium into living organisms and to the formation of OBT. Tritiated compounds may be transported to humans via several tropic levels. Retention times of organically bound tritium in organisms are considerably longer than those of tritiated water, which has significant consequences on exposure dose estimation. It is rather difficult to predict the amount of OBT produced by the photosynthetic process of plants because it may be influenced by a multitude of environmental factors and plant parameters. Tritiated organic matters are classified as the exchangeable or nonexchangeable bound tritium according to the bound form. After short term HTO exposure in plants, the formation and uptake of OBT were evaluated.

환경에서 삼중수소는 주로 HTO 형태로 존재하며, 이동성이 크므로 대기권으로 쉽게 증발한 후 광합성작용을 거쳐 식물의 영양분과 결합한 다음 먹이연쇄 과정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사람에게까지 전달된다. 조직결합수(OBT)는 인체 내에서 장시간 체류할 수 있으므로 피폭선량 측면에서 지금까지 주로 고려되어진 조직자유수(TFWT)와는 다르게 인식되어야 한다. 육상생태계 내에서 OBT는 식물의 광합성 작용에 의해 주로 생성되지만 다양한 환경매체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생성량을 예측하기는 매우 어렵다. 특히 생체 내에서 결합형태에 따라 교환성 삼중수소와 비교환성 삼중수소로 구분된다. 우리나라 주요 곡류의 하나인 벼의 어린시기와 잔디에 인위적으로 HTO에 피폭시킨 후 조직결합수의 생성율을 비교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