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관지 천식 환자에서 치료 반응의 차이에 따른 폐 기능 및 고해상 CT 소견의 고찰

A Study of Pulmonary Function and HRCT Findings in Asthma Patients According to the Response after Treatment

  • 남궁은경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김경호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김기업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어수택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김용훈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박춘식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박재성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과학교실)
  • NamKung, Eun-Kyu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oonchunh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Kyung-H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oonchunh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Ki-Up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oonchunh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Uh, Soo-Taek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oonchunh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Yong-Hoo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oonchunh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Park, Choon-Sik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oonchunh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Park, Jae-Sung (Department of Radiology, Soonchunh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발행 : 1997.10.31

초록

연구배경 : 기관지 천식은 가역적인 기도 폐쇄를 특징으로 하지만 치료에 대한 호전 정도에 차이를 보이며 기도의 비가 역적 구조 변화와 관련되는 것으로 보인다. 저자들은 폐 환기능과 고해상 CT를 이용하여 치료 후 기도폐쇄의 호전 차이가 기도의 구조적 변화와 관련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단순 흉부 방사선 촬영에서 정상 소견을 보이는 천식환자 40명을 대상으로 치료 시작 3일내 폐 기능 검사와 고해상 CT를 시행하였다. 매일 PEFR을 측정하였고 그 변화에 따라 대상 환자들을 분류하였다. 초기 PEFR이 정상 범위이면 경증군 (=Group0), PEFR의 30% 증가가 3일이내면 조기반응군(=Group1), 2주이내면 후기반응군(=Group2)으로 분류하였고 다시 PEFR의 정상 범위 도달시기가 3일이내면 조기정상반응군(=Group3), 2주이내면 후기정상반응군(=Group4), 2주내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 미정상반응군(=Group5)으로 분류하였다. 결 과 : 연령은 경증군에서 다른 군들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으나 다른 군들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환기간은 후기반응군에서 경증군, 조기반응군 보다 유의하게 길었다. FVC(%), $FEV_1$(%)는 치료에 대한 반응이 느릴수록 유의하게 낮았다. $FEV_1$/FVC(%)는 조기반응군과 후기반응군에서 경증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으며 미정상반응군에서 경증군, 조기 및 후기정상반응군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공기포획은 호전이 느릴수록 유의하게 많았다. 점액저류는 경증군에서 조기 및 후기반응군에 비해 많았으며, 경증군, 후기정상반응군, 미정상 반응군에서 조기정상반응군보다 많았다. 결 론 : 비교적 단기간내에 기도 폐쇄에서 호전되는데 차이를 보이는 것은 만성적인 염증 반응의 지속시간이 중요하며, 초기 기도폐쇄의 정도가 관련이 있어서, 본 연구에서는 고해상 CT를 통한 구조적 변화의 차이를 뚜렷이 볼 수는 없었지만, 집중적인 치료를 통해 만성 염증 반응을 소실시카고 기도폐쇄가 없는 무증상 상태로 이르도록 하는 것이 환자의 예후에 중요할 것으로 본다.

Background : In asthma, airway obstruction is usually reversible, either spontaneously or with treatment. However, the responses to treatment are variable and some patients show an irreversible component of airflow obstruction. This may be associated with structural changes in the airway.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fference in airway reversibility and structural changes, we evaluated the HRCT findings and pulmonary function test. Methods : We studied 40 asthmatic subjects who had had acute exacerbation of symptoms and had showed normal chest X-ray findings. They had monitered PEFR daily, and had performed PFT and HRCT within three days after initiation of treatment. According to serial PEFR, they were grouped into 3 categories (Group 0 ; initial PEFR was within normal limit, Group 1 ; revealed increment of 30% in PEFR within 3 days after initiation of treatment, Group 2 ; revealed within 2 weeks) and then grouped again into 4 (Group 0, Group 3 ; reached to normal value of PEFR within 3 days after initiation of treatment, Group 4 ; within 2 weeks, Group 5 ; not within 2 weeks). Results : (1) Age in Group 0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other groups(p<0.05), but there was no significance in other groups. (2) Duration of asthma in Group 2 was significantly longer than Group 0, 1(p<0.05). (3) FVC(%) and FEV1(%)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delayed response to the treatment (p<0.05). (4) $FEV_1$/FVC(%) in Group 1, 2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Group 0(p<0.05). $FEV_1$/FVC(%) in Group 5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Group 0,3,4 (p<0.05). (5) Air trapping was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delayed response to the treatment (p<0.05). (6) Mucus impaction in Group 0 was significantly larger than Group 1,2 (p<0.05). $FEV_1$/FVC(%) in Group 0,4,5 were significantly larger than Group 3 (p<0.05). Conclusion : Difference in reversibility of airway obstruction was associated with age, duration of asthma and severity of initial airflow obstruction There was no definite difference in HRCT findings in asthma.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