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sociation between Myofascial Pain Syndrome and the Assessment of Pain and the related Function tests in female telephone directory assistance operators using VDT

VDT 사용 여성 전화교환원들의 근막동통증후군과 동통 및 기능평가 검사와의 관련성

  • Roh, Sang-Chul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Hanyang University) ;
  • Lee, Soo-Jin (Center for Occupational Health, Hanyang University Hospital) ;
  • Song, Jae-Cheol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Hanyang University) ;
  • Park, Hung-Bae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Hanyang University)
  • 노상철 (한양의대 예방의학교실) ;
  • 이수진 (한양대학병원 산업보건센터) ;
  • 송재철 (한양의대 예방의학교실) ;
  • 박항배 (한양의대 예방의학교실)
  • Published : 1997.12.01

Abstract

The Association between myofascial pain syndrome and some tests was assessed in a cross-sectional study of 904 female telephone operators using video display terminals(VDTs). 105 cases were diagnosed as Myofascial pain syndrome with symptom questionnaire, laboratory examination and physician's physical examination and 550 controls were defined to show only musculoskeletal symptoms using NIOSH symptom criteria. Data on demographics, musculoskeletal symptom and visual analogue scale(VAS) were obtained by questionnaire. Anthropometric measurements, pressure pain threshold, Grip & Pinch strength and laboratory test were conduct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ase and control at comparing of demographics, occupational history and body measurements were observed. But, Grip strength, pressure pain threshold and VAS showed the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case and controt. Age, pressure pain threshold of Rt. Upper trapezius and VAS were associated with myofascial pain syndrome in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is results suggest that, to diagnose of myofascial pain syndrome, the consideration of the objective aspects among patients' subjective symptom complaints through the VAS and pressure pain threshold is required.

본 연구는 목과 상지의 누적외상성장애를 호소하는 대상자들중에서 근막동통증후군으로 진단받은 환자군과 단순 증상호소군인 대조군사이에서 검사결과의 분석을 통하여 집단 검진시 고려해 볼 수 있는 검사항목을 찾고자하였다. 조사대상은 컴퓨터를 통한 자료검색 및 대화형태의 업무를 하는 여성 전화교환원 904명이었으며, 근막동통증후군으로 진단받은 105명의 환자군과 상지의 누적외상성장애의 증상만을 호소하는 550명의 대조군을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신체계측과 악력 및 Pinch strength 측정결과, 키와 몸무게, 앉은 자세의 높이 등에서는 환자군과 대조군의 차이가 없었으나, 약력은 환자군의 우측손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낮았으며, Pinch strength는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2. 시각적 상사척도는 환자군의 평균값이 $6.74{\pm}2.29$이며, 대조군은 $4.37{\pm}2.32$으로 나타나 두 군간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3. 근육효소검사에서는 비정상으로 분류된 이상자의 분포가 환자군과 대조군에서 유사한 분포를 보여 실제 진단과정에 미치는 영향은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4.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한 유의한 변수는 나이, 우측 상부승모근의 압통역치값과 시각적 상사척도로 나타났다. 5. 압통역치검사와 시각적 상사척도는 근막동통증후군의 진단에 객관적 검사로서 고려할 만한 검사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