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pulation Analysis by the Reproductive Ecological Method for th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in Korean Waters

한국 해역에 분포하는 오징어 (Todarodes pacificus)의 생식생태학적 방법에 의한 계군분석

  • KIM Yeong-Hye (Department of Marine Biology,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KANG Yong-Joo (Department of Marine Biology,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CHOI Soo-Ha (East Sea Fisheries Research Institute, NFRDA) ;
  • PARK Cha-Soo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Agency) ;
  • BAIK Chul-In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Agency)
  • Published : 1997.07.01

Abstract

Population analysis of th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identified three seasonal cohorts in the Korean waters. They were significantly separable in terms of spawning period and fecundity, and they were slightly different in frequency distribution of egg size, while they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mantle length at $50\%$ maturity.

본 연구는 분리된 세 개의 군이 서로 다른 독특한 생식생태를 가지는 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각군의 산란기, 난경 조성, 포란수 및 성숙 외투장을 조사하였다. 하계군의 산란기는 7월$\~$8월 (주산란기, 7월), 난경 분포는 $0.4\~2.4mm$ (최빈값, 0.8 mm)이었고, 포란수는 $F=0.1\times10^{-6}{\times}ML^{0.5036}$이었다. 추계군의 산란기는 9월$\~$이듬해 1월 (주산란기, 9월), 난경 분포는 $0.2\~1.4mm$ (최빈값, 0.8mm)이었고, 포란수는 $F=1.0017{\times}ML^{3.2864}$ 이었다. 동계군은 3월$\~$4월 (주산란기, 3월)이었으며, 난경 분포는 $0.4\~2.0mm$ (최빈값, 1.0 mm)이었다. 포란수는 $F=1.0499{\times}ML^{1.2953}$ 이었다. 성숙외투장은 하계군, 추계군 및 동계군 모두 $20\~22cm$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산란기, 포란수 및 난경의 분포는 군간에 차이가 있었으나 성숙외투장은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