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ructural and Stratigraphic Evolution of Lake Tanganyika

아프리카 탕가니카호수의 구조 및 층서 진화 연구

  • Shon, Howoong (Department of Earth Resources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Paichai University)
  • Received : 1996.11.14
  • Published : 1997.02.28

Abstract

Seismic data from Lake Tanganyika indicate a complex tectonic, structural, and stratigraphic history. The Lake Tanganyika rift consists of half grabens which tend to alternate dip-direction along the strike of the rift. Adjacent half-grabens are separated by distinct accommodation zones of strike-slip motion. These are areas of relatively high basement, and are classified into two distinct forms which depend on the map-view geometry of the border faults on either side of the accommodation zone. One type is the high-relief accommodation zone which is a fault bounded area of high basement with little subsidence or sediment accumulation. These high-relief areas probably formed very early in the rifting process. The second type is the low-relief accommodation zone which is a large, faulted anticlinal warp with considerable rift sediment accumulated over its axis. These low-relief features continue to develop as rifting processes. This structural configuration profoundly influences depositional processes in Lake Tanganyika. Not only does structures dictate where discrete basins and depocenters can exist, it also controls the distribution of sedimentary facies within basins, both in space and time. This is because rift shoulder topography controls regional drainage patterns and sediment access into the lake. Large fluvial and deltaic systems tend to enter the rift from the up-dip side of half-grabens or along the rift axis, while fans tend to enter from the border fault side.

아프리카 동부의 탕가니카호수에서의 탄성파자료는 이 지역이 복잡한 판구조적, 구조적 및 층서적 역사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탕가니카호수의 열곡은 열곡의 주향을 따라 경사방향이 교대로 나타나는 반지구대(half-graben)로 구성되어 있으며 인접한 반지구대는 주향방향의 수용대 (收容帶; accommodation zone)로 분리되어 있다. 기반암이 비교적 높이 올라와 있는 수용대의 양쪽 면은 경계부 단층이 발달되어 있으며, 기복이 높은 수용대는 침강이 낮고 퇴적량이 적으며 기반암이 높이 올라와 있고 열곡발달 초기에 형성되었다. 또다른 수용대의 형태는 낮은 기복을 갖으며 상당량의 퇴적물을 갖고 단층이 발달된 배사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이런 지역은 열곡이 진행되어 가는 곳이다. 이러한 구조적 형태는 탕가니카 호수에서의 퇴적양상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즉, 구조는 분지와 퇴적섬(堆積心; depocenter)이 존재하는 곳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분지 내에서 공간적, 시간적으로 퇴적분포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한편, 열곡 측면지형은 호수로 유입하는 유수 (drainage)의 형태나 퇴적물에 영향을 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Korea Science and Engineering Found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