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합유기용제에 폭로된 근로자들에 대한 신경행동학적 기능의 평가

Neurobehavioral Performance Test of Workers Exposed to Mixed Organic Solvents

  • 김창윤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사공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정종학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주리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전만중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성낙정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김상규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Kim, Chang-Youn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SaKong, Joon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Chung, Jong-Hak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Joo, Ree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Jeon, Man-Joong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Sung, Nag-Jung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Kim, Sang-Kyu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발행 : 1997.12.30

초록

복합유기용제를 취급하는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유기용제의 폭로가 신경행동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대구지역의 중소규모 사업장에서 톨루엔, 크실렌, 메틸에틸케톤 및 신나에 만성적으로 폭로되는 유기용제 폭로군 48명과 폭로군과 같은 사업장에 근무하면서 유기용제에 폭로되지 않은 대조군 50명을 대상으로 1996년 8월에서 10월까지 연령, 교육수준, 음주, 흡연량 및 직업관련 변수들을 조사하고 Neurobehavioral Core Test Battery의 검사항목 중 Benton visual retention검사, 숫자부호 짝짓기, 숫자 외우기, 목적점찍기를 시행하였다. Benton visual retention검사는 폭로군이 7.9개, 대조군이 8.2개로 두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숫자부호 짝짓기의 경우 폭로군이 55.6개, 대조군이 62.1개로서 폭로군이 유의하게 적었다(p<0.01). 숫자 외우기의 총 점수와 거꾸로 따라외우기의 점수가 폭로군에서 유의하게 적었으며(p<0.05, p<0.01) 목적점찍기의 바르게 찍은 점의 개수가 폭로군에서 유의하게 적었다(p<0.05). 연령의 변화에 따른 신경행동기능의 일관성있는 변화는 없었으나 Benton visual retention검사의 경우 젊은 연령군이 고연령군에 비해 대조군에서 유의하게 높은 성적을 보였다(p<0.05). 부호숫자짝짓기의 경우 폭로군과 대조군 모두에서 학력이 높을수록 검사성적이 유의하게 높은 경향을 보였다(p<0.05). 숫자부호짝짓기에서 섭취하는 알콜의 량이 많을수록 폭로군의 부호숫자짝짓기 검사성적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목적점찍기의 경우 폭로군에서 흡연량이 증가할수록 성적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신경행동학적 검사성적을 종속변수로 하고 유기용제의 폭로유모, 나이, 학력수준, 알콜 및 흡연량을 독립변수로 한 다중회귀분석에서 Benton visual retention검사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그 성적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p<0.05), 숫자부호짝짓기는 학력이 높을수록 성적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숫자외우기에서는 유기용제의 폭로가 유의한 변수로 채택되었다(p<0.01). 목적점찍기의 총점수는 흡연량과 교육수준이(p<0.01), 바르게 찍은 개수는 흡연량과 유기용제의 폭로가 유의한 변수로 채택되었다(p<0.05). 유기용제의 폭로에 의해 지각반응(perception-response)과 단기기억능력(short-term memory)이 민감하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특히 허용 농도이하에서도 장기적으로 폭로되는 경우 폭로자의 신경행동기능에 변화를 초래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NCTB에 의한 신경행동기능의 평가는 신경독성물질의 폭로이외에도 연령과 교육수준에 영향을 받으며 특히 지속적 운동능력의 경우 흡연에도 다소 영향을 받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A cross-sectional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chronic exposure to low-dose solvent on neurobehavioral performance of 48 male workers exposed to organic solvents. A control group of 50 workers was selected from same factories. Each worker completed a medical and occupational questionnaire and four tests of Neurobehavioral Core Test Battery. These included Benton visual retention test, digit symbol, digit span, and pursuit aiming. Comparison of mean performance showed a significantly poorer performance on digit symbol, digit span, and pursuit aiming. In univariate analysis, age contributed to poor performance on Benton visual retention test and educational level was found to reduce the performance on symbol digit in both groups. Amount of alcohol intake was found to reduce the performance on digit symbol and smoking appeared to slow pursuit aiming in the exposure group.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ontrolling for age, educational level, alcohol, and smoking, Solvent exposure was found to be associated with performance of digit span, and number of correct dot of pursuit aiming. Age on Benton visual retention, educational level on digit symbol, arid smoking on pursuit aiming were found to be a significant factors on each test items. This study suggest that short-term memory, and perception can be affected easily by chronic exposure of organic solvents which air concentration levels were under the Threshold Limit Valu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