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ison of Diagnostic Value between the Absolute and Relative Uptake Rate on $^{99m}Tc-DMSA$ Renal Scan of Children with Febrile Urinary Tract Infection

발열성 요로감염 환아의 $^{99m}Tc-DMSA$ 신주사에서 절대적 신섭취율과 상대적 신섭취율의 진단적 가치에 대한 비교연구

  • Kim Hee-Yeon (Department of Pediatrics, Ewha Womans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Bae Sang-Young (Department of Pediatrics, Ewha Womans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Whang Su-Ja (Department of Pediatrics, Ewha Womans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Park Eun-Ae (Department of Pediatrics, Ewha Womans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Ho-Sung (Department of Pediatrics, Ewha Womans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Seo Jung-Wan (Department of Pediatrics, Ewha Womans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Sung-Joo (Department of Pediatrics, Ewha Womans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김희연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배상영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황수자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박은애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김호성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서정완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이승주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Published : 1997.05.01

Abstract

Purpose: To evaluate the diagnositc value of the absolute and relative renal uptake rates on $^{99m}Tc-DMSA$ renal scan of children with febrile UTI. Method: The absolute and relative renal uptake rates of $^{99m}Tc-DMSA$ were checked in 68 children with febrile urinary tract infection (35 with unilateral focal defect; 13 with bilateral focal defect; and 20 with diffuse bilateral defect) and 49 children with afebrile UTI and normal $^{99m}Tc-DMSA$ renal scan as control. Results: The renal absolute uptake rate in the control group were $21.8{\pm}3.9%(right),\;22.2{\pm}3.9%(left),\;and\;44.2{\pm}7.8%(total)$. The absolute uptake rate gradually increased until the age 12 months and then was stationary. In febrile UTI with unilateral focal defect on the $^{99m}Tc-DMSA$ renal scan, both relative and absolute uptake rates were similarly diagnostic ($41.2{\pm}9.7%,\;16.5{\pm}5.4%$ vs $50.0{\pm}2.6%,\;22.0{\pm}3.9%$, p<0.01). In acute pyelonephritis with bilateral focal defect on the $^{99m}Tc-DMSA$ renal scan, the absolute uptake rate was significantly more diagnostic than the relative uptake rate[$17.3{\pm}5.3%$ (right), $17.4{\pm}5.3%\;(left),\;vs\;21.8{\pm}3.9%,\;(right)\;22.2{\pm}3.9%$, (left)% p<0.01]. In febrile UTI with bilateral diffuse defects on the $^{99m}Tc-DMSA$ renal scan, the absolute uptake rate was significantly diagnostic than the relative uptake rate [$18.1{\pm}3.9%\;(right),\;18.4{\pm}3.8%\;(left),\;vs\;21.8{\pm}3.9%,\;(right)\;22.2{\pm}3.9%$(left), p<0.01]. Conclusion: In the $^{99m}Tc-DMSA$ renal scan, the absolute uptake rate was more useful than the relative uptake rate to evaluate bilateral acute pyelonephritis.

목적 : 발열성 요로감염 환아의 ${99m}Tc-DMSA$ 신주사에서 상대적 및 절대적 신섭취율을 비교하여 진단적 가치를 규명하고자 한다. 방법 : 요로감염으로 진단받은 117례(남아 70례, 여아 47례)에서 $^{99m}Tc-DMSA$ 정맥주사 3시간 후에 좌우 신장의 상대적 및 절대적 신섭취율을 측정하였다. 고열과 $^{99m}Tc-DMSA$ 신주사상 결손 부위를 보인 환아는 총 68례였고 이중 일측성 부분 결손을 보인 35례, 양측성 부분 결손을 보인 13례, 양측성 미만성 결손을 보인 20례의 절대적 및 상대적 신섭취율을 측정하여 비발열성 요로감염이면서 $^{99m}Tc-DMSA$신주사가 정상인 대조군 49례와 비교하였다. 결과 : 1) 대조군에서 절대적 신섭취율은 우측 $21.8{\pm}3.9%$, 좌측 $22.2{\pm}3.9%$, 평균 $22.0{\pm}3.9%$, 전체 $44.2{\pm}7.8%$로 좌우측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연령에 따른 변화로 좌우측 평균과 전체는 0-6개월에 $18.3{\pm}4.3%,\;36.7{\pm}8.7%$, 7-12개월에 $20.8{\pm}3.2%,\;41.6{\pm}6.4%$, 13-24개월에 $22.0{\pm}1.3%,\;45.7{\pm}3.5%$, 25-36개월에 $22.7{\pm}0.7%,\;44.5{\pm}1.5%$, 36개월이상 $22.7{\pm}3.2%,\;43.1{\pm}6.6%$로서 영아기동안 연령에 따라 점차 증가하여 1세경에 성인과 비슷하였다. 2) 일측성 급성 신우신염시 $^{99m}Tc-DMSA$의 상대적 및 절대적 신섭취율을 보면 이환신의 경우 $41.2{\pm}9.7%,\;16.5{\pm}5.4%$로 대조군의 $50.0{\pm}2.6%,\;22.0{\pm}3.9%$(좌우 평균)에 비해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01) 반대측의 정상신은 $58.8{\pm}9.7%,\;23.2{\pm}5.2%$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양측성 급성 신우신염시 상대적 신섭취율은 우측 $49.9{\pm}2.9%$, 좌측 $50.1{\pm}2.9%$로 대조군의 우측 $49.4{\pm}2.6%$, 좌측 $50.2{\pm}2.5%$에 비해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p>0.01) 절대적 신섭취율은 우측 $17.3{\pm}5.3%$, 좌측 $17.4{\pm}5.3%$, 전체 $34.7{\pm}10.3%$로 대조군의 우측 $21.8{\pm}3.9%$, 좌측 $22.2{\pm}3.9%$, 전체 $44.2{\pm}7.8%$보다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0.01). 4) 양측성 미만성 결손을 보인 급성 신우신염시 상대적 신섭취율은 우측 $48.9{\pm}1.9%$, 좌측 $51.0{\pm}1.9%$로 대조군의 우측 $49.4{\pm}2.6%$, 좌측 $50.2{\pm}2.5%$에 비해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절대적 신섭취율은 우측 $18.1{\pm}3.9%$, 좌측 $18.4{\pm}3.8%$, 전체 $36.8{\pm}7.6%$로 대조군의 우측 $21.8{\pm}3.9%$, 좌측 $22.2{\pm}3.9%$, 전체 $44.2{\pm}7.8%$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0.01). 결론 : 양측성 부분 결손이나 미만성 결손을 보이는 급성 신우신염 환아의 $^{99m}Tc-DMSA$신주사 에서 절대적 신섭취율은 상대적 신섭취율에 비해 진단적 가치가 높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