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erences between Species and Seasonal Changes in Cambial Electrical Resistance of Twenty Ornamental Tree Species

20개(個) 조경수종(造景樹種)의 형성층전기저항치(形成層電氣抵抗値)의 수종간(樹種間) 차이(差異)와 계절적(季節的) 변화(變化)

  • 이경준 (서울대학교 농생대 산림자원학과) ;
  • 한심희 (서울대학교 농생대 산림자원학과) ;
  • 정용선 (서울대학교 농생대 산림자원학과)
  • Received : 1997.05.27
  • Published : 1997.12.31

Abstract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obtain standardized basic data on cambial electrical resistance (CER) of ornamental trees to be used for estimation of tree vigor and to compare CER between shrubs, deciduous, and coniferous trees in relation to bud opening, flowering, and growth cessation. Eighty healthy trees with four trees each for twenty ornamental tree species growing at an university campus in Suwon were selected and their CER was measured using a Shigometer every week from March to May, once a month from June to October and every two weeks in November, 1996. The CER of all tree species was high in March, started to decrease in April, maintained minimum in May through August, began to increase in September, and returned in November to the similar high level to March. Among the 20 species, Metasequoia glyptostroboides showed the lowest($5.5k{\Omega}$) annual average CER, while Cercis chinensis and Ligustrum obtusifolium had the highest($22.7k{\Omega}$, $22.9k{\Omega}$) annual average CER. The lowest CER($2.4k{\Omega}$) in summer(June through August) was obtained from Wisteria floribunda, second lowest($2.5k{\Omega}$) from Metasequoia glyptostroboides, the highest CER($46.8k{\Omega}$) during dormant season from Euonymus japonica, and second highest($45.0k{\Omega}$) obtained from Ligustrum obtusifolium. The CER of most species, particularly shrub species, started to decrease with bud opening, and many species, particularly shrubs and deciduous trees with large amount of flowers, showed sharp decrease with flowering. When CER was compared between shrubs and trees, shrubs showed higher average CER than trees, and seasonal difference in CER of evergreen species was smaller than that of deciduous species. It is interesting to note that the deciduous Metasequoia glyptostroboides had the lowest annual average CER.

본 연구는 Shigometer를 조경수목의 건강도 측정에 활용하기 위하여 계절별로 형성층 부근의 전기저항치를 조사하여 수종별 평균치를 구하고, 관목, 침엽수교목, 활엽수교목의 개엽, 개화, 생장정지등 계절별 생장에 따른 전기저항 특성을 상호 비교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1996년 3월부터 11월까지 경기도 수원시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교내에 식재되어 있는 조경수 20 수종을 대상으로 Shigometer를 이용하여 각 수목의 형성층의 전기저항치(CER)를 개화와 개엽시기인 3월에서 5월까지 주 1회씩, 6월부터 10월까지 월 1회씩, 그리고 11월에는 2주마다 측정하였다. 수종별로 건강한 4개체를 사용하였으며, 매회 개체당 4반복으로 조사하였다. 모든 수종이 3월에 높은 CER을 보이다가 4월부터 감소하기 시작하여 5월부터 8월 사이에 가장 낮은 값을 보였으며, 9월부터 다시 증가하기 시작하여 11월에는 3월과 같은 수준의 높은 값을 나타냈다. 전체 20 수종 중에서 년 평균 CER 값이 가장 낮은 수종은 $5.5k{\Omega}$의 메타세코이아였으며 가장 높은 수종은 $22.7k{\Omega}$$22.9k{\Omega}$의 박태기나무와 쥐똥나무였다. 여름철 (6~8월)에 가장 낮은 CER 값을 보여준 수종은 등나무 ($2.4k{\Omega}$)였으며, 그 다음은 메타세코이아($2.5k{\Omega}$)이었다. 11월 혹은 3윌 중에 가장 높은 CER 값을 가진 나무는 사철나무($46.8k{\Omega}$)이었고 그 다음은 쥐똥나무($45.0k{\Omega}$)이였다. 봄철 개엽시기에 맞추어 대부분 수종의 CER이 감소하였으며, 특히 관목에서 현저히 나타났다. 개화시기에도 많은 수종의 CER이 감소하였는데 특히 개화량이 많은 관목과 활엽수 교목에서 관찰되었다. 관목, 활엽수 교목, 침엽수 교목간의 비교에서는 관목의 평균 CER치가 교목보다 높은 편이었으며, 상록수의 계절간 변화폭은 낙엽수보다 적게 나타났다. 메타세코이아는 낙엽성 침엽수이지만 년간 평균치가 가장 낮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