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ot Dynamics of a Pine Stand at Hongcheon Determined by Two Kinds of Soil Samplers

두 가지 토양(土壤) 시료(試料) 채취기(採取器)를 이용한 홍천(洪川) 소재(所在) 소나무림(林)의 근계동태(根系動態) 분석(分析)

  • Huh, Tae-Chul (Department of Forestry, Kyungpook University) ;
  • Park, Hyun (Div. of Forest Microbiology, Forestry Research Institute)
  • 허태철 (경북대학교 임학과) ;
  • 박현 (임업연구원 산림미생물과)
  • Received : 1997.01.25
  • Published : 1997.03.31

Abstract

Root dynamics of a pine stand at Hongcheon, Korea was assayed with two kinds of soil samplers which had been tentatively manufactured to renovate the routine soil sampler, Oakfield soil sampler. Root-mixed soil samples were collected on December of 1995, March, May, August and December of 1996 within each randomly selected 8 plots. The amount of roots collected by the two kinds of soil sampler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t the 5% level, which indicated that the renovated sampler was more desirable to be used since the sampler showed efficiencies in time for collection and quantification than the routine sampler. The quantities of total root in 100g soils were 469mg on December of 1995, and 352mg, 473mg, 461mg, 522mg on the following March, May, August and December, respectively. That is, total amount of roots showed the smallest in Spring and reached maximum in early Winter, although the differences were not significant among each season. By the way, the alive roots and dead roo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season, the alive roots took about 90% from May to early December while they decreased down to some 65% from late December to March. The roots of Pinus densiflora S. et Z. took about 46% of total roots although the species comprised 70% of crown layer, and the ratio of fine-roots of the species were higher than that of other species. By the way, the dynamics of total roots and that of alive roots were quite different. Thus, the study for root dynamics such as fine roots which take a major role for mycorrhizae formation or nutrient uptake should not be inferred from the data of total root dynamics but be investigated in detail by dividing them into each class.

본 연구는 강원도 홍천군 소재 송이 발생림의 근계동태를 파악하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Oakfield soil corer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간이 제작한 뿌리 조사용 soil sampler의 효용성을 평가하고자 수행하였다. 임의로 정한 8개의 조사구에서 1995년 12월과 1996년 3월, 5월, 8월 및 12월에 토양에 섞인 뿌리시료를 채취하였으며, 두 가지 토양시료 채취기에 의한 정량결과는 5% 유의수준에서 통계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시간 및 경제적인 면에서 효율적인 개량 시료채취기의 사용이 바람직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각 기간별 연구대상지 토양 100g중 뿌리 총량은 1995년 12월 469mg, 1996년 3월 352mg, 5월 473mg, 8월 461mg, 12월은 522mg으로 나타나 봄에 가장 적었다가 점차 증가하여 초겨울에 최대량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나 계절간의 차이는 통계적인 유의차가 뚜렷하지 않았다. 반면, 살아있는 뿌리와 죽은 뿌리의 비율은 계절별 차이를 뚜렷이 나타내었는데, 전체 뿌리중 살아있는 뿌리의 비율은 5월~12월 초순까지는 90% 내외를 차지하다가 12월 중 하순~3월까지는 65% 내외로 줄어드는 모습을 보였다. 조사지 내에서 상층수관의 70%를 점유하는 소나무는 전체 뿌리량의 약 46% 내외를 유지하고 있었으며 다른 뿌리의 세근에 비하여 소나무 세근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았다. 한편, 전체 뿌리량의 동태와 살아있는 뿌리의 동태는 같은 패턴을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실질적인 식물 생육에 영향하며 균근의 형성 및 활동에 영향하는 세근을 비롯한 살아있는 식물뿌리의 동태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전체 뿌리량의 동태파악을 통하여 추정하지 않고 세근 등 각 종류별 뿌리를 선별하여 정량하여야 함을 확인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농림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