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sual Preferences and Willingness to Pay for Alternative Use of Barren Agricultural Land

유휴농경지(遊休農耕地)의 토지이용(土地利用) 대안(代案)에 대(代)한 시각선호(視覺選好)와 지불의사(支拂意思)

  • 김성일 (서울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 이영주 (서울대학교 임업과학연구소) ;
  • 송형섭 (충남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Received : 1997.01.13
  • Published : 1997.03.31

Abstract

In this research, photo images of uncultivated marginal lands were simulated to visualize alternative land use patterns using image capture technology. Based on an original photos, 3 simulated images were created ; barren condition, aforested condition and shrub-covered condition. The simulated images were then used to evaluate respondents' visual preference(SBE value) and willingness to pay for the agricultural development tax as a hypothetical payment vehicle. The SBE values for barren condition are the lowest, as expected. When original condition is changed to forested or shrubbed, the SBE values are increased significantly. The logistic models for the willingness to pay for the various alternative land uses performed significantly, ${\rho}$ statistics for 6 models ranges from 0.3 to 0.4 and correct percentage for predicted probability are about 75%. Among independent variables, the amount of tax offered is the most influencing factor to predict the probability. Income also shows some relationship with no statistical significance. Other variables behave inconsistently in the model. When SBE and WTP are correlated, rather consistent trends can be observed. With the increase of SBE, WTP predicted by the model increases accordingly. It can be concluded that enhancement of scenic quality of the agricultural lands leads to increase of people's willingness to pay to support the rural environmental conservation.

유휴농경지의 증가로 이에 대한 대안적 활용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경관의 모의조작을 통하여 이를 보다 적극적으로 산림으로 복구하거나 다른 대안으로의 이용하는 방안의 타당성을 검토하며 이에 대한 지불의사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두가지 유형의 유휴농경지에 대하여 각가 세개씩의 대안을 검토하여 총 6개의 대안을 검토하였다. SBE값은 폐경지상태가 가장 낮았으며 산림과 야생초화류로 복구되는 대안의 값이 유의하게 상승하였다. 각각의 토지이용대안에 대한 지불의사를 추정하기 위하여 로지스틱 모형을 적용하였으며 6개의 모델에 대한 ${\rho}$값은 0.3-0.4로서 예상된 적중률은 약 75%에 해당하였다. 독립변수 중에서 적중률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세액으로 나타났으며 수입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을 가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변수들은 모델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SBE와 WTP는 서로 일정한 상관을 가지는 것으로 사료되며 SBE가 증가함에 따라 WTP도 증가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따라서, 농경지에 대한 경관의 질을 향상시킴으로써 전원지역의 환경보전에 대한 지불의사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