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racteristics of Channelbed and Woody Debris on Mountainous Stream

산지급류소하천(山地急流小河川)에 있어서 하상미지형(河床微地形)과 유목(流木) 특성(特性)

  • Chun, Kun-Woo (Department of Forestry, College of Forestry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Kim, Min-Sik (Department of Forestry, College of Forestry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Park, Wan-Geun (Department of Forestry, College of Forestry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Ezaki, Tsugio (University of Forest, College of Agriculture, Ehime University)
  • 전근우 (강원대학교 산림과학대학 임학과) ;
  • 김민식 (강원대학교 산림과학대학 임학과) ;
  • 박완근 (강원대학교 산림과학대학 임학과) ;
  • 에자키 츠기오 (일본 애원대학 농학부 부속연습림)
  • Received : 1997.01.06
  • Published : 1997.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cquire essential data to reduce the amount of woody debris resulted from the debris flow. This research examined top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channelbed affecting generation, movement and storage of woody debris and woody characteristics related to number, sizes, shapes, decay, storage direction to mountainous stream. 1. The number of woody debris had a tendency to increase in proportion to stream width, but it was hardly affected by longitudinal gradient of stream. Especially, the greater amount of woody debris was stored at wide section of the stream with compound channel, and it was found in deposits of channelbed rather than in the present channel. 2. Total woody debris over 10cm in diameter and over 2m in length was 402 units and storage number was 35.3 units per 100m of stream. Average diameter of breast height and length were 14cm and 4m, respectively. The woody debris appeared shorter in length and greater in diameter at down-stream than up-stream. 3. Since woody debris met sediments and bed-materials of great roughness in moving, the greater amount of woody debris without root was found in up-stream and down-stream, but deformed woody debris was discovered in upper stream. Decay of woody debris was more severe in down-stream and woody debris on rotting process was found down-stream. 4. Storage direction of woody debris was mainly parallel to center line of stream, and rate of parallel and perpendicularity was 276 and 126 units, respectively. But, as woody debris storing to the perpendicular direction was unstable, the traveling debris could easily be stored. Therefore, some counterplan was required to prevent the traveling woody debris. 5. Tree species of woody debris was mainly larch, which occupied about two third of total woody debris(256 units). The woody debris of larch is easy to move due to hitting of channelbed materials or lower channelbed fluctuation because the lower part of larch is weaker than its upper part. Therefore, the section of the tree species planting in the riparian vegetation needs much more carefulness.

유목(流木) 대책(對策)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해 산지급류소하천(山地急流小河川)에 있어서 유목(流木)의 발생, 이동 및 체류(滯留)에 영향을 미치는 하상미지형(河床微地形)의 특성과 유목(流木)의 본수, 크기, 형태, 부후도(腐朽度), 체류(滯留) 방향(方向) 및 종류 등의 유목(流木) 특성(特性)을 파악하였다. 1. 유목(流木)의 체류(滯留) 본수(本數)는 하폭(河幅)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나 하천의 종단 물매에는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았다. 특히 확폭부(擴幅部)에서도 복수(複數) 유로(流路)가 발달된 구간을 중심으로 다량의 유목(流木)이 체류(滯留)하고 있었으며, 현유로(現流路)보다는 하상퇴적지(河床堆積地)에 주로 체류(滯留)하고 있었다. 2. 조사 대상인 직경 10cm 이상, 길이 2m 이상의 유목(流木)은 총 402개로 100m당 체류(滯留) 본수(本數)는 35.3개였다. 또한 유목(流木)의 평균 길이와 흉고직경은 각각 4.0m, 14.0cm였으며, 구간별 유목(流木)의 크기는 하류로 갈수록 길이가 짧아지고 직경이 커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3. 유목(流木)이 이동할 때에는 토석류(土石流)나 조도(粗度)가 큰 하상(河床) 재료(材料)와 접촉되기 때문에 하류(下流) 구간(區間)과 일부 상류(上流) 구간(區間)에서 뿌리가 없는 유목(流木)이 다수 발견되었으며, 상류(上流) 구간(區間)에서도 유목(流木)의 원형이 크게 손상된 경우가 많았다. 또한 유목(流木)의 부후도(腐朽度)는 하류로 갈수록 심했으며, 하류의 일부 구간에는 부후(腐朽)가 상당히 진행된 유목(流木)이 발견되어 이전에도 유목(流木)이 체류(滯留)하고 있었던 것이 확인되었다. 4. 유목(流木)의 체류(滯留) 방향(方向)은 유심(流心)에 평행하여 체류(滯留)하는 경우와 직각으로 체류(滯留)하는 경우가 각각 276 : 126으로 유심(流心)에 평행하여 체류(滯留)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일부 구간에는 유심(流心)에 직각 방향으로 체류(滯留)하는 유목(流木)이 다수 분포하여 유목(流木) 자체가 불안정할 뿐 아니라 이동(移動) 토사(土砂)가 체류(滯留)되기 쉬우므로 이에 대한 대비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5. 유목(流木)의 종류는 침엽수인 일본잎갈나무가 전체 유목(流木)중 약 2/3에 해당하는 256본을 차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일본잎갈나무의 경우 지상부에 비해 지하부가 빈약하기 때문에 하상(河床) 재료(材料)의 작은 충격이나 소규모의 하상변동(河床變動)에 의해서도 유출되기 쉬우므로 하안림(河岸林)의 수종으로 선택할 경우에는 신중을 기해야 할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Grant : 도시유역림의 수자원 관리 및 훼손지 방지를 위한 관리 대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