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공간계획과 지역연구

Regional Planning and Area Studies in Korea

  • 홍철 (국토개발연구원)
  • Hong, Chul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 발행 : 1997.12.01

초록

국토계획이나 지역계획과 같은 공간계획은 사회${\cdot}$문화${\cdot}$경제적인 기능이 복합적으로 존재하는 공간인 '지역'을 대상으로 한다. 따라서 공간계획을 수립하는 일은 해당 지역의 특성과 기능에 대한 이해를 기초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계획의 대상이 되는 국내 지역에 대한 연구가 계획수립과 갖는 관계에 관하여 논의한다. 우리나라 국토계획과 지역계획을 수립하는 데 있어 지리학, 지역학, 민속학, 인류학 등의 분야에서 이루어진 지역연구는 큰 기여를 해왔다. 이것은 크게 세가지 영역에서 확인되는데 그것은 지역구분에 의한 계획단위의 확인, 생활권 조사에 기초한 계획권역의 설정, 그리고 각 지역특성의 조사에 의한 각 지역 기능의 부여라는 면에서 이다. 과거 지역연구가 계획수립에 이처럼 큰 기여를 해왔지만 일부 부족한 점은 앞으로 보완될 수 있으리라 본다. 이것은 공간계획가와 지역연구학자 모두의 책임이다. 지역연구를 체례적으로 조직하여 계획에서 활용할 수 있는 형태로 축적하는 일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순수 학문적인 지역연구 이외에 표준화된 형태의 계획 지향적인 지역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계획수립은 결국 사람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지역연구학자들이 계획수립과정에 다양하게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지역연구가 보다 활성화 되어야 할 것이며 계획마인드를 갖춘 지역연구 인력의 양성도 필요하리라 본다.

Spatial plans, widely encompassing national or regional plans, are designed for an appropriate management of 'region',which is a complex of social, cultural and economic functions. Designing a spatial plan, therefore, i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structure, function, and some other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concemed. Area stidies which have been conducted in the fields of geography, regional science and anthropology, have contributed a lot to establishing the whole range of the regional planning system. This is identified in three spheres: setting up planning units based on concrete area studies and appropriate regional divisions, dividing planning areas by the studies on goods and service purchase behavior, endowing specific functions to each planning area. Some suggestions have been made to intensify the connections between area studies and regional planning, which include consensus buiding, planning-oriented area studies by the standardized formatting and sharing of research products by commercializatio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