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owth and Yield Responses of Soybean Cultivars to Drought Stress at Early Growth Stage

콩 생육초기 수분 장애에 따른 생육 및 수량 반응의 품종간 차이

  • Yang Moon, Jin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
  • Hong-Suk Lee (Coll. of Agric, & Life Sci., Seoul Nat′l Univ.) ;
  • Suk Ha, Lee (National Crop Experiment Station, RDA)
  • Published : 1997.04.01

Abstract

Water deficit stress during early soybean[Glycine max (L.) Merrill] growth stage is the most important environmental factor limiting productivity. Eight soybean genotypes were grown in replicated pot under well-watered(control: near 0 bar) and drought(-5 and -10 bars) conditions. Soybean plants were subject to drought stress for 20 days at 10 days after seed emergence. Significant genotypic variation was observed for leaf area(LA) and total dry weight (TDW). At the end of water stress, LA and TDW of Hwanggeumkong and Paldalkong, which had large LA in the non-stressed control, were more sensitive to water stress than those of the other cultivars, while those of Suwon 93 with small LA were insensitive. Leaf proline and abscisic acid(ABA) contents increased after water stress. However, changes in proline and ABA contents were not consistently related to the changes in LA as affected by water stress. As the soil water potential decreased, the yield reduction of Hodgson 78 showing large decrease in LA and TDW in response to water deficit was severe when compared to that of Baegunkong with small decrease in LA and TDW. Relatively greater yield stability and higher average yield across soil water potential were observed in Baegunkong. Of specific interest was the small reduction in yield of Paldalkong in spite of its significant decrease in LA and TDW.

생육초기의 수분부족 장애에 대한 콩의 생리적 및 작물학적인 여러 형질들의 반응양상과 콩 품종들의 한발저항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황금콩 등 8품종을 공시하고 생육초기반응에 대해서 토양 수분장력을 -0.3, -5및 -10bar로 달리하여 폿트를 이용한 토양재배를 하였던 바 그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생육초기 20일간의 토양수분 부족장애시는 모든 생육지표에서 생육을 감소시켰는데 특히 엽면적과 지상부건물중의 감소가 뚜렷하였다. 토양수분 부족장애에 의한 생육감소의 품종간 차이는 절대엽면적이 큰 황금콩의 감소율이 높고, 엽면적이 작은 수원 9003가 감소율이 제일 작았다. 2. 엽중 proline 및 ABA 함량은 20일간의 토양수분 부족장애로 인해 현저히 증가하였는데, proline은 무처리구에 비해 -5 bar에서 26배내외, -10 bar에서 65배 내외 증가되었고 ABA는 각각 2.5배 및 2.9배 정도 증가되었는데, 품종들의 엽면적감소율 순위와 proline 또는 ABA 함량의 증가순위와는 일치하지 않았다. 3. 콩 생육초기 20일간 토양수분 부족장애 처리후 생육량 감소 정도와 수량의 무처리구 대비 백분율을 기준으로 품종을 구분하여 보면, 백운콩은 엽면적과 총건물중의 감소율이 작으면서 수량 감소율도 작은 품종이었으며, 팔달콩은 엽면적과 총건물중의 감소율은 크나 수량 감소율은 작은 품종이었고, Hodgson 78은 어느 형질이나 감소율이 큰 품종이었다. 4. 토양수분 부족장애가 없을 경우 수량이 높았던 장백콩과 남천콩은 토양 수분 부족장애로 인해 수량 감소율은 컸지만 수분부족 장애시에도 타품종들에 비해 수량이 높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