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 가정과 교육내용의 중요성에 관한 연구 -전북지역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mportance of Contents in Middle-School Home-Economics

  • 박일록 (원광대학교 사범대학 가정교육과)
  • 발행 : 1997.12.01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mportant contents from teachers’, parents’and students’view points based on the sixth Home Economics textbook contents, to apply these results at school settings and to provide the materials as a basis for the next curriculum revision. Subjects were 59 teachers, 253 parents, and 389 students from 3 cities and 5 counties in CholaBukDo. A questionnaire which was made by the researcher was used as an instrument for this study. The results are as follows: Of 32 contents on Family life subarea, all the teachers, the parents and the students put the emphasis on sex such as pregnancy, purity, sex-ethics, etc. This result means that middle-school students emphasized the sexual identity formation and this was also a common concern about adolescents in our society. Of 37 contents of Managing home resource and Consumer life subarea, teachers though the environment pollution is an important subject and parents and students thought finding a method to conserve good environment were more important. This result reflects their concern on the environment. Of 49 contents on Dietary life, teachers and parent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nutritive elements”which is basic on their dietary life and students were more interested in “adolescence and growth and development among adolescents’nutritional characteristics and problems”which is more related to their current life. Of 40 contents on Clothing life subarea, while teachers put the emphasis on the method how they can buy ready-made clothes, parents and students wanted them to teach what kind of clothes are suitable for themselves. Of 18 contents on Residing life subarea, teacher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ventilation for adjusting the room environment and students were more interested in the effective use of the residing space. By finding out what kinds of Home-economics contents are important from the view point of teachers, parents and students, this study can be a useful resource for the next curriculum revision and for selecting contents of a new-coming text book. However, restricted sampling must be considered and further studies which cover the whole area might be needed.

키워드

참고문헌

  1. 교육부고시 제1992~11호 가정과 교육과정 해설(중학교) 교육부
  2. 한국가정과교육학회 v.9 no.1 중학교 남녀학생별 가정교과에 대한 인식 및 학습효과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신동순(외)
  3. 한국가정과교육학회 v.9 no.1 인천시내 남녀 중학생의 가정교과에 대한 인식 및 학습효과에 대한 연구 오현주;홍성야
  4. 한국가정과교육학회 v.5 no.1 가정과 교육에 대한 남녀중학생의 인식과 관련변수 류상희;유안진
  5. 중학교 가정 윤인경(외6인)
  6. 한국가정과교육학회 v.8 no.1 중학교 가정 교과서 분석 연구(Ⅰ) 윤인경
  7. 한국가정과교육학회 v.8 no.2 중학교 가정 교과서 분석 연구(Ⅱ) 윤인경
  8. 한국가정과교육학회 v.9 no.1 중학교 가정 교과서 분석 연구(Ⅲ) 윤인경
  9.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가정교과 주생활 단원에 대한 남녀 중학생의 인식과 활용도에 관한 연구 이강분
  10. 한국가정과교육학회 v.6 no.2 가정교과 주생활 단원에 대한 남녀 중학생의 인식과 활용도에 관한 연구 이강분;최목화
  11. 중학교 가정 이기춘(외4인)
  12. 중학교 가정 이순원(외4인)
  13. 중학교 가정 이승인(외4인)
  14. 한국가정과교육학회 v.5 중학교 가정 교과서의 주생활 단원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교육방법에 관한 연구 이은순;조재순
  15. 한국가정과교육학회 v.4 no.1 중학교 가정과 교육에 대한 인식 및 교과영역별 필요도에 관한 조사연구-서울시내 중학교 학생의 학부모를 중심으로- 이은정;신상옥
  16. 중학교 가정 임원자(외7인)
  17. 한국가정과교육학회 v.7 no.2 중학교 가정교과서 식생활 및 의생활 단원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활용 장현숙;조필교
  18.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중학교 기술 가정교과 교육내용의 통합적 접근에 관한 연구 전현주
  19. 중학교 가정 조규화(외7인)
  20. 중학교 가정 최영희(외5인)
  21. 대한가정학회 v.34 no.6 중학교 가정과 교사와 학생의 식생활 단원 교육내용에 대한 요구도 분석 홍은정;백회영
  22. 한국가정과교육학회 v.7 no.2 중학교 가정과 학습내용에 대한 예비중학생과 학부모의 인식 황선화;정영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