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reliminary Study on Development of Family Welfare Service Program

가정복지서비스 프로그램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김양희 (중아대학교 가정관리학과)
  • Published : 1997.09.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differences between the demand for education program and the demand for counseling program of family welfare and to analyze the relation betwee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 demand for family welfare service program For these purposes, total sample of 909 women those residing in Seoul, Inchon, Taejun, Taegu, Pusan, Kwangju, Chungju, Junju and Choonchun, were selected. Statistics were frequencies, means, percentile, cross-tabulation, t-test and Anov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 family welfare service program on children and adolescents, the improvement in family living, consumption, retirement planning, health management, protection of environment and resource, volunteering and the advance of living culture, the demand for education program were higher than the demand for cunseling program. In particular, demands for both education program and counseling program on children and adolescents were the highest. Second, age, residence and income had very significant effects on the demands for both education program and counseling program. By understanding these differences in the demand for education program and counseling program of family welfare, practitioners and educators may be able to develop family welfare service program to solve family problems.

Keywords

References

  1. 한국가족구조의 변화 공세권(외)
  2. 한국가족의 기능과 역할변화 공세권(외)
  3. 국민복지 기획단 전문가보고(미간행) 가족복지서비스기능강화 김명숙
  4. 대한가정학회 48차 춘계학술대회 발표집 우리나라 가정복지사업의 실태와 과제. 지방화시대와 가정복지 김영숙
  5. 한국가족정책연구 김영모
  6. 한국복지사회론 남세진;조흥식
  7. 가족과 한국사회 가족정책과 가족 박민자
  8. 대구대학교 학원창립 50주년 개교 40주년 기념학술대회 삶의 질 개선을 위한 한국형 복지 모형의 정립. 21C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전망과 과제 박천익
  9. 대한가정학회 48차 춘계학술대회 발표집 가족정책 연구의 관점과 쟁점, 그리고 자리매김. 지방화시대와 가정복지 변화순
  10. 사회복지전달체계의 개선과 전문인력 활용방안 서상목;최일섭;김상균
  11. 사회복지 v.115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개념적 틀과 분석방법의 예 성규탁
  12. 1995년도 가정 정책토론회. 삶의 질 선진화와 가족정책 한국의 가족정책:대안의 선택과 정부 · 민간의 연계 이혜경
  13. 1995년도 가정정책토론회. 삶의 질 선진화와 가족정책 가족관련 공공행정 조흥식
  14. 가족학논집 v.제6집 복지국가와 가족 최성재
  15. 사회복지국제학술회의자료집 복지국가의 현재와 미래 한국사회복지학회
  16. Understanding Family Policy: Theoretical Approaches Zimmerman, S. 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