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experiment was done to clarify the effect of keeping material and storage temperature on weight and quality of Chinese yam (Dioscorea opposita) tuber. After the yam tubers were placed into the plastic boxes filled with different keeping materials [polyethylene (PE) film, hull, soil, sand, vermiculite], they were stored under different storage temperature(room, cold) from Oct. 15 to Mar. 15 when all the characters related to the tubers were measured. Soil or PE film as keeping materials was the lowest sound tuber rate when stored at room or cold temperature, respectively, while vermiculite was the highest in both storage temperature. When PE film and vermiculite in both storage temperatures were used as keeping materials, tuber weight were less reduced than the others. Brightness of chromaticity and moisture content were lower in room temperature storage than in cold temperature storage although the characteristics related to marketability were not affected by storage temperature. PE film had greater brightness and value 'a' of chromaticity but lower its 'b' value in the latter temperature than in the former temperature. Vermiculite, however, did the reverse result in comparison with PE film.
최근 한방(韓方)의 생약제(生藥劑) 또는 생식용(生食用)으로서 마의 소비량은 급격히 증대되고 있어 년중(年中) 출하(出荷)를 위한 안정적인 저장방법이 설정되어야 할 것이다. 본 시험은 마의 저장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저장온도와 충전재(充塡材)에 따른 저장 또는 상품성과 관련된 형질의 변화를 조사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고 같다. 1. 충전재(充塡材)에 따른 건전개체율은 상온저장과 저온저장 모두 vermiculite를 이용할 경우 가장 높았고 상온저장에서는 흙, 저온저장에서는 PE film을 이용할 경우 가장 낮았다. 한편 중량감소율은 상온과 저온저장 모두 타충진재(他充塡材)에 비하여 PE film과 vermiculite를 이용할 경우 가장 낮았다. 2. 충전재과(充塡材科)에 따른 저장 후 상품성(商品性)과 관련된 명도(明度)와 수분함량(水分含量)은 저온저장에 비하여 상온저장에서 낮았으며, 충전재(充塡材)는 저온저장에서 PE film을 이용할 경우 명도 및 색도 a값이 높고 색도 b값이 낮은 반면, vermiculite를 이용할 경우 PE film과는 상반된 결과를 보였다. 3. 충전재료별 저장 후 상품수량은 건전개체율 또는 수분함량과 정(正)의 상관(相關)을 보인 반면, 부패정도가 $30\sim60%$, 60% 이상인 것, 중량감소율 또는 색도 b값과 부(負)의 상관(相關)으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