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Until now the research was usually related in the fishing basket for crab charybdis japonica, concentrated one's effort to modification on the construction, shape, number of entrance of fishing basket etc.. But there's not make good used to the basically habit, shelter behavior of crab. etc., and was not fundamentally modified to the ability attracting the crab on net fishing basket. In this paper, first of all investigated to the behavior of crab in water tank and then two types modification fishing baskets could the increasing to ability attracting of crab on fishing basket were designed from the result obtained in this experiment and compared with modificated net fishing basket by Kim.Go(1987.1990) at a field and tank experiment.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Being the fishing baskets had dropped in the tank bottom, the touched rate and reacted rate of crab according the elapsed time agree with to experiment of Kim.Go(1987.1990)in the mainly. however, in case of plate type tangle net, the touched rate of crab increased for a short time and then decreased and the reacted rate increased in a hurry to show a maximum and then was established. 2. The beginning catch time of crab was shortest in the plate type tangle net than the any fishing baskets because it's immediately entangled if the crab was touched only a part of body on net and latest in the net fishing basket. 3. A distance of between the touched rate and the reacted rate curve were the most short, wide in the plate type tangle net. therefore, the ability attracting of crab was excellent than the any fishing baskets and in case of pipe type fishing baskets, between the 150mm and 250mm seemed not difference and showed a tendency to increasing against the net fishing baskets. 4. Pipe type fishing baskets seemed to become a good shelting place for the crab because it showed a tendency to stagnate at the inside in that. 5. The mean catch per pot of crab among the net fishing basket, pipe type fishing baskets, plate type tangle net were highest in the pipe type fishing baskets than the net fishing basket and lowest plate type tangle net. Therefore it showed to difference against the tank experiment.
민꽃게를 대상으로 하는 통발 어구에 관한 지금까지의 연구가 통발의 형상, 입구의 수 등 주로 강조적인 측면을 개선하는데 주력하였을 뿐 민꽃게의 은신행동 등 민꽃게 자체의 기본적 습성을 충분히 이용하였다고는 볼 수 없고, 그물 통발이 가지는 민꽃게 수입 성능상의 한계점을 근본적으로 개선하지는 못하였다고 생각되었기에 본 연구에서는 민꽃게의 수입 성능적 그물 통발은 한계가 있다고 보고, 민꽃게의 습성을 고도로 이용함으로써 수입성능을 높일 수 있는 2종류의 어구를 고\ulcorner 하여 수조실험과 해상실험을 통해 금.고(1987, 1990)가 개발한 통발과 비교 실험을 행하였다.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그물 통발과 파이프형 통발에서 시간의 경과에 따른 민꽃게의 접촉율과 반응율은 금.고(1987.1990)가 행한 사구식 각주형 그물 통발의 실험 결과와 대체로 일치하였지만, 평판형 얽애그물에서는 접촉율이 잠깐 증가하였다가 바로 감소하였고, 반응율은 급히 증가하기 시작하여 최대치를 보인 후 일정해지는 경향을 나타내 차이가 있었다. 2) 민꽃게의 입농시작 시간은 평판형 얽애그물에서 민꽃게가 그물에 접촉하기만 하면 신체의 일부분이 곧바로 그물에 얽혀버렸기 때문에 포획에 걸리는 시간이 다른 통발 어구에 비해 가장 짧게 나타났고, 다음이 파이프형 통발이며 그물 통발에서 가장 늦게 나타났다. 3) 민꽃게의 통발내 분포율을 나타내는 접촉율 곡선과 반응율곡선과의 시폭은 평판형 얽애그물에서 가장 빨리 그리고 많이 벌어져 민꽃게의 체포자체에 있어서는 그 성능이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파이프형 통발의 경우 직경의 차이(${\phi}$ 150, 250mm)에 따라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그물 통발에 비해 성능이 높게 나타났다. 4) 파이프형 통발은 입농한 민꽃게에 대해 통발내에서 정제하는 은신행동을 수발하게 하여 민꽃게의 은신처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5)그물 통발과 파이프형 통발 및 평판형 얽애그물에 대한 어획 실험에서 어구 하나당 평균 어획량은 파이프형 통발에서 가장 많았고, 다음이 그물통발이였으며, 평판형 얽애 그물에서 가장 적어 수조실험과는 차이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