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Kyemyeongsan area of Chungju in the NE part of the Ogcheon metamorphic zone, Koera, consists mainly of the Ogcheon Supergroup(Taehyangsan Quartzite, Hyangsanri Dolomite and Kyemyeogsan Formation) and the MeSozoic Chungju granite. The Kyemyeongsan Formation is composed mainly of metamorphic rocks of various grades derived from conglomeratic, basic, acidic, pelitic and psammitic rocks. The basic and acidic rocks show alternated or interfingered appearence, indicating that they were derived form bimodal type of magmatism in rift environment. Conglomeratic rocks overlie acidic volcanic rocks in geneal, but are underlain by both acidic plutonic and volcanic rocks. This indicaties that the acidic magmatism before the formation of conglomeratic rocks was different from that during or after the formation of conglomeratic rocks in its occurrence mode. The geological structure of the Ogcheon metamorphic zone in the Kyemyeongsan area, Chungju was formed at least by three phases of deormation. The first phase deformation(D1) formed a regional-scale sheath-type fold(F1) closed into the east. Its axial phane(S1) strikes NNW to NW and dips WSW to SW. The stetching lineation(L1), related to the sheath-type fold, plunges westward. The second phase deformation (D2) formed asymmetric fold(F2) of ESE-to SE-vergence with NNE to NE striking axial plane(S2) and $20~45^{\circ}/210~230^{\circ}$ plunging axis(L2). The F2 fold reoriented the original westward plunging L1 into northwestward plunging L1 in its lower limb(overturned limb). The third phase of deformation(D3) was recognized as chevron-type fold(F3) with $45^{\circ}/265$^{\circ}$ plunging axis. The F3 fold was formed by the compression of N-S direction, resulting in the reorientation of the original $20-45^{\circ}/210~230^{\circ}$ plunging L2 into mainly $35~45^{\circ}/260~280^{\circ}$ and subsidiarily $30~45^{\circ}/135~165^{\circ}$ plunging L2. After this deformation, open fold with NS striking and steeply E or W dipping axial plane is formed by the compression of E-W direction.
옥천변성대의 북동부에 위치하고 있는 충주 계명산지역은 옥천누층군(대향산 규암층, 향산리 돌로마이트층, 계명산층)과 이들을 관입하고 있는 중생대 충주화강암으로 주고 구성되어 있다. 계명 산층의 주요 구성암류는 역질암, 염기성질암, 산성질암, 이질암 그리고 사질암 기원의 다양한 변성도를 보이는 변성암류로 되어 있고, 염기성질암과 산성질암을 교호 내지 설상으로 산출한다. 이는 염기성질암과 산성질암이 열곡환경의 바이모달(bimodal)형 화성활동의 산물이었음을 제안한다. 또한, 열린 납작 타원형 분포를 보이는 역질암의 외곽부에는 주로 화산암형 산성질암이 분포하고 그의 중심부에는 화산암형 산성질암과 함께 심성암형 산성질암이 분포한다. 이는 역질암 형성 이전의 산성질암 화성활동은 역질암 형성과 동시기 내지 이후의 산성질암 화성활동과 그의 산상에서 차이점이 있음을 의미한다. 충주 계명산지역 옥천변성대의 지리구조는 적어도 세 번의 변형단계를 거쳐 형성되었다. 첫 번째 변형(D1 변형 )은 북북서 내지 북서 주향에 서남서 내지 남서 방향으로 경사하는 습곡축면(S1)과 서쪽으로 침강하는 습곡축을 보이는 동쪽으로 닫힌 하나의 거대한 칼집형(sheath-type)습곡(F1 습곡)을 형성시켰다. 그 결과, 서쪽으로 침강하는 신장선구조(L1)가 형성되엇다. 두 번째 변형(D2 변형)은 북북동 내지 북동 주향의 습곡축면(S2)과 $20~45^{\circ}/210~230^{\circ}$ 방향의 습곡축(L2)을 보이는 동남동 내지 남동 버전스(vergence)의 비대칭 습곡(F2 습곡)을 형성시켰다. 그 결과, 서쪽으로 침강하는 원래의 L1방향은 F2 습곡의 하위 날개(역전된 날개)부에서 북서쪽으로 침강하는 L1으로 재배열되었다. 세 번째 변형(D3 변형)은 $45^{\circ}/265^{\circ}$ 방향의 습곡을 갖는 셰브론(chevron)형 습곡(F3 습곡)으로, 남북 방향의 압축작용에 의해 형성된다. 그 결과, 원래의 L2 방향($20~45^{\circ}/210~230^{\circ}$방향)은 주로 $35~45^{\circ}/260~280^{\circ}$방향과 부수적으로 $30~45^{\circ}/135~165^{\circ}$ 방향의 L2로 재배열된다. D3 변형 이후, 동서 방향의 압축작용으로 형성된 남북 주향에 고각 경사의 습곡축면과 준 수평적인 습곡축을 갖는 열린(open)습곡이 관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