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거공간의 가변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lexibility of the Residential Space

  • 박경애 (서울산업대학교 건축공학과 시간강사)
  • 발행 : 1997.12.01

초록

This study is on the spacial flexbility of house. In the recent days, it is true that the qualitative aspect of residence rather than the quantitative one has emphasized. But the inhabitants of residence undergo adaptation problems to deal with changing needs constantly. Residence must be the place to satisfy inhabitant's desire to live and dwell. According to changes in family life cylce and personal demand, the flexibility in housing should be beneficial. This study attempts to solve relationships of these need changes and inhabitant's adaptation through the spatial flexibility. Throughout the process of main discourse, some theoretical backgrounds of housing are applied. And to introduce the flexibility of residential space, concepts of flexibility according to 'time' and 'spatial structure' are employed. In addition to functionality and comfort, living should provide a touch of humanity attuned to individual sensi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method can move interior structure by the flexible planning.

키워드

참고문헌

  1. Creating Architectural Theory : 건축이론의 창조 Jon Lang;조철희;김경준 역
  2. The Hidden Dimention: 보이지 않는 차원 Edward T. Hall;김광문 역
  3. Personal Space: 개인의 공간 Robert Sommer
  4. Existence, Space And Architecture : 실존, 공간, 건축 C. Noberg Schulz
  5. The Concept of Dwelling: 주거의 개념 C. Noberg Schulz;이재훈 역
  6. Home Environment : 주거와 환경 I. Altman;C. M. Werner (ed).;이경희 외3인 공역
  7. 인간과 주거 홍형옥
  8. 넥서스 월드 넥서스월드 연구회
  9. 21세기 공동체 생활문화 육성을 위한 다학제적 접근 연세대학교 생활과학 연구소
  10. 21세기엔 이런 집에 살고 싶다 새주택 설계연구회
  11. 우리의 주거문화 어떻게 달라져야 하나? 김진애
  12.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8 no.10 주생활 변화에 따른 주거자 적응에 관한 연구 김수암;박용환
  13.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v.12 no.4 공간의 분절과 접속의 측면에서 바라본 우리나라 단독주택의 공간구조에 관한 연구 손세관;박경희
  14.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v.12 no.11 가족유형에 따른 공동주택 선호경향에 관한 연구 김혜정
  15.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v.11 no.8 대도시 집합주택 거주자의 주거공간 규모규범에 관한 연구 이선옥;박두용
  16.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윤봉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