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량에서의 세굴깊이 산정 및 산정치와 실측치의 비교분석

Estimation of Scour Depth at Bridnges and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Estimated and Measured Scour Depths

  • 윤용남 (고려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 이재수 (전주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고려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 호정석
  • 발행 : 1997.10.01

초록

최근에 국내외적으로 발생한 교각과 교대에서의 세굴로 인한 교량의 붕괴는 보다 나은 세굴깊이 산정방법에 대한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미국 연방고속도로국에서 발간한 HEC-18에서 제시하는 절차를 바탕으로 1차원 모형인 WSPRO 모형과 HEC-2 모형, 그리고 2차원 모형인 TABS-MD 모형을 사용하여 남한강에 위치하고 있는 남한강교에 대한 수리분석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또한 1차원 및 2차원 모형으로부터 구한 수리량을 사용하여 산정한 세굴깊이를 비교하였다. 이와 동시에 홍수를 전후하여 음향측심기인 Fathometer(DE-719C)를 사용하여 현장실측을 수행하였다. 교량에서의 예측한 세굴깊이와 측정된 세굴깊이를 또한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실험실과 현장조건사이의 차이 때문에 산정된 세굴깊이와 실측된 세굴깊이 간에는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또한 되메움현상 때문에 최대세굴깊이를 정확히 측정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첨두 홍수시 사용할 수 있는 세굴측정장비의 개발과 국내 하천에 적합한 경험식을 개발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본다.

Recent internal and external bridge failures due to pier and abutment scour have emphasized the need for better methods of scour depth estimation. This paper compares the hydraulic analysis of the Namhan River Bridge over the Namhan River using one-dimensional models. WSPRO & HEC-2, and the two-dimensional model. TABS-MD based on the procedures presented in HEC-18 published by the U.S. FEdral Highway Administration. A comparison of estimated scour depth for this research based on the results from both one-dimensional and two-dimensional model is presented. At the same time, field measurement has been performed before and after flood using sounding instrument. Fathometer (DE-719C). A comparison between estimated and measured scour depth at bridge is also presented. Result shows that there is all the difference between estimated and measured scour depth due to dissimilarity between laboratory and field conditions. Also, it is difficult to measure the maximum scour depth accurately due to refilling. Therefore development of scour measuring equipment which can be used during peak flood, and derivation of empirical model appropriate for internal river system seems urgent.

키워드

참고문헌

  1. 한강수계치수기본계획 건설부
  2.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v.15 no.6 2차원 수리모형을 이용한 홍수시 교량에서의 최대세굴심도 예측 윤용남;윤재영;이재수
  3. 1996년도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외 논문집 교량에서의 세굴깊이의 예측 및 실측치와의 비교분석 이재수;윤용남;호정석
  4. 영동선 남한강교 교각 기초 세굴조사보고서, 한국도로공사 영동지사 한국도로공사 영동지사
  5. FastTABS, hydrodynamic modeling reference manual Engineering Computer Graphics Laboratory
  6. Journal of the Hydraulics Division v.89 no.HY2 Scour at bridges crossing Laursen,E.M.
  7. Journal of the Hydraulics Division v.92 no.HY3 An analysis of relief bridge scour Laursen,E.M.
  8. National Cooperative Highway Research Program, Project No. HR15-11 Bridges stream tube model for alluvial river simulation (BRISTARS), User's manual Molinas,A.
  9. Journal of Hydraulic Research v.17 no.2 Note on initial movement of coarse uniform bed material Neill,C.R.
  10. Evaluating scour at bridges(2nd Edition), Hydraulic Engineering Circular No.18 Richardson,E.V.;Harrison,L.J.;Davis,S.R.
  11. User's manual for WSPRO-A computer model for water surface profile computation. FHWA-IP-89-027 Shearman,J.O.
  12. Generalized computer program system for open-channel flow and sedimentation, TABS System v.1;2 U.S. Army Corps of Engineers
  13. Waterway surface profile, User's manual: HEC-2 U.S. Army Corps of Engineers
  14. Scour and deposition in rivers and reservoirs, User's manual: HEC-6 U.S. Army Corps of Engine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