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Biochemical Pollutant Markers for Diagnosis of Marine Pollution I. Changes in Lipid Components of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in the Yellow Sea

해양오염의 진단을 위한 생화학적 오염지표에 관한 연구 I. 황해산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의 지질성분의 변화

  • 최진호 (부경대학교 식품생명과학과 생화학교실) ;
  • 김동우 (부경대학교 식품생명과학과 생화학교실) ;
  • 문영실 (부경대학교 식품생명과학과 생화학교실) ;
  • 박청길 (부경대학교 공과대학 환경공학과) ;
  • 김재일 (한림대학교 환경생명과학연구소) ;
  • 양동범 (한국해양연구소 해양화학연구부)
  • Published : 1997.03.01

Abstract

For the recent years, considerable efforts have been made to rationalize the techniques of research and monitoring of biological effects of marine pollutants such as heavy metals, polychlorinate biphenyls (PCBs), organochlorine pesticides,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organophosphorus pesticides. This study was designed as a part of efforts to investigate the biochemical pollutant markers for diagnosis of marine pollutions by the changes in lipid components of th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in Yellow Sea of Korea. Homoglobin levels in serum of cultured and wild flounders in Yellow Sea were significantly lower (5 - 15% and 20 -25 % , respectively) than those of wild flounder in Pohang. Triglyceride (TG) contents in serum of cultured flounders in Yellow Sea were 10 - 40% higher than those of wild flounder in Pohang. Total and low density lipoprotein (LDL)-cholesterol contents in serum of flounders in Yellow Sea were significantly 10-15% and 30-35% (cultured), and 10-20% (wild), respectively, higher than those of wild flounder in Pohang. Atherogenic index (AI) and T-Chol/PL rations in serum of cultured and wild flounders in Yellow sea were significantly 20-45% and 10-!5%, 6-35% and 15-35%, respectively, higher than those of wild flounder in pohang. These results suggest that near-coastal waters as well as neritic waters of the Yellow Sea might be affected by pollutant input.

해양오염의 진단을 위한 생화학적 오염지표 설정의 기초 연구의일환으로,오염이 심각한 서해(또는 황해)산 넙치(Paralichthys olivaceus)의 혈액의 지질성분을 분석 평가하였다. 서해안의 양식 및 자연산 넙치의 혈액중의 해모글로빈의 함량은 동해안 포항의 자연산 넙치 대비 각각 5-15% 및 20-25%의 감소현상이 나타나서 서해안의 내해(內海) 및 외해(外海)의 오염이 심각함을 알 수 있었다. 서해안의 양식산 넙치의 혈청중의 충성지질(TG)의 함량도 포항의 자연산 넙치의 혈청중의 TG의 함량 대비 10-40%나 유의적으로 높았다. 서해안의 양식 및 자연산 넙치의 혈청중의 총콜레스테롤의 함량은 포항의 자연산 넙치의 혈청중의 총콜레스테롤의 함량 대비 양식산 넙치는 각각 10-15% 및 30-35%나 높았고, 서해안의 양식 및 자연산 넙치의 혈청중의 LDL-콜레스테올의 함량도 각각 10-20% 및 20-25%나 높았다. 또한 포항의 자연산 넙치, 그리고 영광 및 격포의 서해안의 자연산 넙치의 혈액중의 HDL-콜레스테롤의 함량이 서해안의 양식산 넙치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자연산 넙치의 HDL-콜레스테올의 증가는 운동이나 어류 단백질(fish protein) 및 섬유질(fiber)의 섭취에 의해서 주로 증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자연산 넙치가 운동량이 상대적으로 많을 뿐만 아니라 해촤 먹이사슬에 의한 적은 생선을 먹이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또한 서해안의 양식 및 자연산 넙치의 동맥경화지수도 포향의 자연산 넙치의 동맥경화지수 대비 각각 20-45% 및 10-15%나 높아서 서해안의 양식산 넙치는 말할 필요도 없고 자연산 넙치도 거의 병적상태로 오염의 정도가 매우 심각한 것으로 판단된다. 질병이나 노화와 함께 증가되는 것으로 알려진 인지질에 대한 총콜레스테롤의 함량비(T-Cho/PL ratio)는 서해안의 양식 및 자연산 넙치의 T-Cho/PL 비가 포항의 자연산 넙치 대비 각각 6-35% 및 15-35%나 높아서 서해안 넙치의 서식환경에 상당한 문제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서해안의 넙치를 비롯한 양식장의 수질환경은 유강오수의 유입, 농약 등의 오염원에 노출되어 있어서 양식장으로서의 환경이 점차 훼손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정부에서는 정화되지 않은 육상오수의 유입 방지, 수질의 여과방법의 개발 등을 포함한 양식장의 서식 환경 새선에 적극 나서야 할 단게가왔다고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Biochem. Pharmacol. v.7 A new and rapid colorimetric determination of acetylcholinesterase activity Ellman, G. L.;Courtney, K. O.;Andres, V.;Featherstone, R. M.
  2. Ecotoxicol. Environ. Saf. v.22 Acetylcholinesterase activity in the common prawn (Palaemon serratus) contaminated by carbarly and phosalone : choice of a method for detection of effects Bocquene, G.;Galgani, F.
  3. Bull. Environ. Contamin. Toxicol. v.45 In vitro inhibiton of acetylcholinesterase from four marine species by organophosphates and carbamates Galgani, F.;Bocquene, G.
  4. Wat. Res. v.25 no.2 Semi-automated colorimetric and enzymatic measurements in aquatic organisms using a plate reader Galgani, F.;Bocquene, G.
  5. Oceanologica Acta. v.15 no.4 Monitoring of pollutant biochemocal effects on marine organisms of the french coasts Galgani, F.
  6. Mar. Ecol. Prog. Ser. v.19 Evidence of variation of cholinesterase activity in fishes along a pollution gradient in the North Sea Galgani, F.;Bocquene, G.;Cadiou, Y.
  7. Mar. Pollut. Bull. v.16 no.4 Biochemical effects of trace metals Viarengo, A.
  8. Environ. Toxicol. Chem. v.6 Subcellular distribution and binding of cadmium to metallothionein in tissues of rainbow trout Olson, P. E.;Hogstrand, C.
  9. Mar. Env. Res. v.27 Specific profile of liver microsomal cytochrome P-450 in dolphin and whales Watanabe, S. T.;Shimada, T.;Nakamura, S.;Nishiyama, N.;Yamashita, N.;Tanabe, S.;Tatsukawa, R.
  10. Crit. Rev. Toxicol. v.21 Polychlorinated biphenyls (PCBs), and related compounds : Environmental and nechanistic considerations which suppot the development of toxic equivalency Factors (TEFs) Safe, S.
  11. J. WPCF v.36 no.2 Detection of pesticides in water by biochemical assay Weiss, C. M.;Gakstatter, J. H.
  12. Bull. Environ. Contam. Toxicol. v.2 no.3 Use of fish brain acetylcholin-esterase to monitor pollution by organophorus pesticides Holland, H. T.;Coppage, D. R.;Imada, N.
  13. Environ. Technol. Lett. v.10 A mthod for routine detection of organophos-phorus and carbamaters in sea water Galgani, F.;Bocquene, G.
  14. Mar. Env. Res. v.35 Bioindicators of contaminant exposure and sublethal effects in benthic fish from Puget Sound Stein, J. E.;Collier, T. K.;Reichert, W. L.;Casillas, E.;Horn, T.;Varanas, U.
  15. Mar. Env. Res. v.24 Xenobiotic metabolizing enzymes in two species of benthic showing different prevalences of hepatic neoplasms in Puget Sound Collier, T. K.;Varanas, U.
  16. Aquat. Liv. Resour. v.4 Mesurement of organic pollution on marine organism : Rapid determination of EROD induction using plate readers Grzebyk, D.;Galgani, F.
  17. J. Biol. Chem. v.193 Protein measurement with the Folin phenol reagent Lowry, O. H.;Roseborough, N. J.;Farr, L. A.;R. J. randall
  18. Analytical Methods v.8 Assay of inorganic phosphate, total phosphate and phosphatases Ames, B. N.
  19. Neurochemical Research v.8 no.4 Bioche-mical changes of rat brain membranes with aging Calderini, G.;Bonetti, A. C.;Battistella, A.;Crews, F. T.;Toffano, G.
  20. J. Lipid. Res. v.14 Determinaiton of cholesterol using o-phthaldehyde Rudel, L. L.;Morris, M. D.
  21. J. Nutr. v.121 The effects of fish oil on triglyceride, cholesterol, fibrinogen and malondialdehyde in humans supple-mented with vitamin E Haglund, O.;Luostarinen, R.;Wallin, R.;Wibell, L.;Saldeen, T.
  22. Principles and procedures of ststistics Steel, R. G. D.;Torrie, J. H.
  23. 長崎大學水産學部硏究報告 no.73 韓日兩國の養殖マダイ肉質の體脂肪及よびアミノ酸の含量比較 崔?浩;槌本六良;橘勝康
  24. 日本水産學會誌 v.54 養殖マダイの肉質に對する遊泳運動の效果 槌本六良;宮田克也;松尾重己;大里進子;高良治江;三鳥敏雄;橘勝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