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ole of Radiotherapy in the Management of Supratentorial Low Grade Astrocytoma

천막 상부 저분화 성상세포종의 치료에 있어 방사선 치료의 역할

  • Lee, Kyung-Ja (Department of Therapeutic Radiology, Ewha Womans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Chang, Hye-Sook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Asan Medical Center, School of Medicine, Ulsan University) ;
  • Song, Mi-Hee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Asan Medical Center, School of Medicine, Ulsan University)
  • 이경자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동대문병원 치료방사선과) ;
  • 장혜숙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방사선종양학과) ;
  • 송미희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방사선종양학과)
  • Published : 1997.03.01

Abstract

Purpose : To evaluate the role of radiotherapy in the management of incompletely resected supratentorial low grade astrocytoma with the analysis of the survival, the Pattern of failure, and the prognostic variables affecting survival. Material and methods : Between January 1990 and December 1995, fifty-one patients with supratentorial low grade astrocytoma received radiotherapy after subtotal resection(16 patients) or stereotactic biopsy(35 patients) at Asan Medical Center, External radiotherapy was done by conventional fractionation with the total dose of 4820cGy to 6000cGy(median 5580cGy) and partial brain volume. The follow-up was done from 6 to 79 months(median 48 months) Result : Overall actuarial survival rate at 2 and 5 years were $83.4\%\;and\;54.8\%$, respectively. Progression free survival at 2 and 5 years were $67.4\%\;and\;48.7\%$, respectively The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affecting overall survival rate were the performance status, 1 stage, histologic subtype, radiation field and radiation response. The major pattern of failure was local failure, such as Progressive disease and primary site recurrence in 23 patients $(45.1\%)$. Progression free survivors excluding 2 patients were physically and intellectually intact without major neurologic deficit. Conclusion : Although the follow-up period of this study was relatively short, overall actuarial and progression free survival rate were encouraging. Patients with good performance status, lower T stage, pilocytic subtype, patients treated with small radiation field and radiation responder showed better survival. As the local failure was the major pattern of failure, the various efforts to decrease the local failure is necessary.

목적 : 저분화 성상세포종 치료에 있어서 방사선 치료 역할을 생존율과 치료 실패 양상으로 평가하고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인자를 분석한다. 대상 및 방법 : 1990년 1월부터 1995년 12월까지 서울 중앙 병원에서 아전절제술과 조직생검으로 확진된 저분화 성상세포종 환자 중 천막 하부를 제외한 총 51(남:여=28:23)예를 대상으로 하여 후향적으로 방사선 치료 성적을 분석하였다. 방사선 치료는 최저 4820cGy, 최고 6000cGy를 분할 치료하였고 치료 부위는 종양에 2-3cm 여유를 두고 국소조사하였다. 추적률은 $96\%$이었으며 추적 관찰 기간의 중앙값은 48개월이었다. 생존율은 Kaplan-Meier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총 51예의 2년 및 5년 전체 생존율은 $83.4\%$54.8\% 이었고 2년 및 5년 무진행 생존율은 $67.4\%$48.7\%이였다. 전체 생존율에 영향을 주는 예Gn인자는 Karnofsky 수행도 (p=0.024), T 병기(p=0.014), 조직학적 유형(p=0.012), 방사선 조사야(p=0.003), 방사선 반응도(p=0.0004)이었다. 그러나 절제 정도(아전 절제술 대 생검) 및 방사선 선량(56OOcGy 이상 대 이하)은 생존율에 영향을 주지 못했다. 방사선치료후에 진행을 보이지 않은 45예중 17예 ($37.8\%)에서 국소 재발을 보였으며, 6예에서는 방사선 치료 직후 진행을 보여 총 23예 ($45.1\%)에서 국소실패를 보였다. 2예를 제외한 28예의 무진행 생존자들은 모두 신체적으로 지능적으로 정상이었다. 결론 : 본 연구에서는 비교적 추적 기간이 짧지만 저분화 성상세포종에 대한 방사선 치료후 5년 생존율과 무진행 생존율은 $54.8\%$48.7\%로 우수하였다. Karnofsky 수행도가 높을수록, T병기가 낮을수록, Pilocytic 유형인 경우, 방사선 치료에 반응할수록 양호한 예후를 보였다. 그러나 주 치료 실패 요인인 국소실패율을 감소시키기 위한 다각도의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