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1,3-dichloro-2-propanol and 3-chloro-1,2-propanediol by Solid Phase Extraction

고체상 추출에 의한 1,3-dichloro-2-propanol과 3-chloro-1,2-propanediol의 분석

  • Published : 1997.02.01

Abstract

The analytical conditions of 1,3-dichloro-2-propanol (DCP) and 3-chloro-1,2-propanediol (MCPD) by solid phase extraction were optimized to improve recovery. Selected-ion monitoring technique which was used for GC-MS analysis of both compounds gave substantially higher sensitivity. The detection limits of DCP and MCPD were 25 and 50 ppb, respectively. The effects of extraction column type, elution solvent and salt concentration on recovery were examined. A normal phase column was better than a reverse phase column in solid phase extraction of DCP and MCPD. It was explained in terms of polarity relationship of solvent-solute-solid phase. A maximum recovery was obtained at the salt concentration of 20% (w/v). Water-immiscible and chloropropanol-soluble solvents such as chloroform, diethyl ether, hexane and ethyl acetate were tested for elution solvent. Hexane and ethyl acetate were the most suitable solvents for the extraction of DCP and MCPD, respectively. High recovery better than 95% was obtained with the selected solvents.

산분해 HVP제조 공정에서 부산물로 생성되는 DCP와 MCPD의 분석을 위한 GC-MS의 분석 조건 및 추출 조건 최적화를 수행하였다. DB-5 모세관 칼럼을 이용하여 DCP와 MCPD가 각각 분리되었으며 SIM기법을 사용한 결과 25-50 ppb까지 검출 한계를 낮출 수 있었다. 고체상 추출 칼럼의 종류, 희석액의 염 농도, 추출 유기용매의 종류 등에 따라 상이한 분석 결과를 보였으며 고체상 추출 칼럼 중에서는 normal phase가 적합하였고, 희석액의 염화나트륨의 농도가 20% (w/v)일 때 최대의 추출 회수율을 보였다. 고체상 추출시 용리제로 사용되는 유기용매의 극성이 회수율을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인 것으로 밝혀졌다. MCPD와 DCP의 추출에 적합한 유기용매의 선정을 위하여 물에 섞이지 않으면서 DCP와 MCPD에 용해도가 높은 클로로포름, 에테르, 핵산과 에틸 아세테이트 등의 유기용매 및 각각의 혼합 용매를 용리제로 테스트한 결과 DCP의 경우 핵산이, MCPD의 경우 에틸아세테이트가 적합한 유기용매로 선정되었다. 이 때 DCP와 MCPD의 추출 회수율은 각각 100%와 95%이었다. HVP를 함유하는 식품 시료를 분석한 결과 DCP와 MCPD의 함량은 각각 1 ppm이하와 수십 ppm의 값을 보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