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묘기증의 치료에 있어서, Cetirizine과 Terfenadine의 효과 비교연구

The Comparative Clinical Study of the Efficacy Between Cetirizine and Terfenadine in Dermographism

  • 권오상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피부과학교실) ;
  • 황지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피부과학교실) ;
  • 서대헌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피부과학교실) ;
  • 윤재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피부과학교실) ;
  • 은희철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피부과학교실)
  • Kwon, Oh-Sang (Department of Dermat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Hwang, Ji-Hwan (Department of Dermat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Suh, Dae-Hun (Department of Dermat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Youn, Jai-Il (Department of Dermat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Eun, Hee-Chul (Department of Dermat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발행 : 1997.12.30

초록

연구배경 : Cetirizine은 비교적 최근에 개발된 2세대 항히스타민제이다. 본 연구는 Cetirizine의 피부묘기증의 치료에 있어서 약효의 정도와 부작용을 보기 위한 임상시험으로, 이의 비교 대상으로는 2세대 H1 수용체길항제로서 가장 먼저 개발되어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는 terfenadine을 선택하여 시행하였다. 방 법 : 만 15세 이상의 40명의 피부묘기증 환자들을 대상으로 20명씩 무작위적으로 7일간 cetirizine 10mg을 저녁에 투여하거나, 7일간 terfenadine 60mg을 하루 2회 투여하였다. 피부묘기증 소파검사는 각 군별로 시험약물 투약전과 투약 후 7일째 날에 실시하였다. 소파검사는 피부묘기증검사기(Dermographometer, Hook & Tucker Instrument Co. U.K. )를 이용하여 $4800G/cm^2$의 압력으로 양측 전박굴측부와 배부에 일정한 속도로 상하 1회씩 소파하였다. 소파 실시 10분 후 제 3자가, 소파 부위별로 발생한 선상의 팽진의 폭을 상, 중, 하 3곳에서 각각 측정하여 평균치를 구하였으며, 투약전후의 평균치 사이의 감소율을 계산하였다. 또한, 주관적 효과 판정의 방법으로 의사와 환자가, 각각 증상의 호전 정도를 증상의 소실(2+, excellent), 완화(1+, good, >50% ), 무변화(0, stationary, <50%), 악화(-1, bad)의 4등급으로 나누어 기록하였다. 부작용의 발생유무와 정도는 문진에 의해 발생 여부를 확인하였다. 결 과 : Cetirizine과 terfenadine 모두에서 투약 전에 비하여 유의한 수준으로 팽진의 폭이 감소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P<0.01). Cetirizine과 terfenadine을 각각 투여한 후 쟁진의 감소율을 비교하였을 때, cetirizine을 투여한 군에서 유의한 수준으로 측정한 3곳 모두에서 terfenadine 투여군에 비해 팽진의 폭이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의사 및 환자의 주관적인 효과판정의 결과 cetirlzine이 terfenadine에 비해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관찰되었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부작용의 정도는 중추신경계의 부작용으로는 cetirizine의 경우 졸림의 항목만 2명에서 관찰되었으나 terfenadine의 경우 두통이 3명, 졸림 5명, 소화기계 증상으로 복통 2명, 메스꺼움 2명, 구토 1명으로 보고되었으며, 기타 부작용으로 가습의답답함을 2명에서 호소하였으며, 흉통을 1명에서 호소하였다. 결 론 : 본 연구에서의 결과로는 팽진의 호전정도는 cetirizine의 효과가 terfenadine에 비해 유의하게 우수한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평균적인 팽진의 감소율이 cetlrizine의 경우 $71%{\sim}75.7%$ 이었으며, terfenadine의 경우 $29.5%{\sim}39.2%$로 이전의 만성 특발성 담마진에서의 호전정도와 유사한 결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피부묘기증의 치료에 있어서 cetirizine 10mg 하루 1회의 경구요법은 거의 부작용이 없이 우수한 치료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Background : Cetirizine is one of the recently introduced H1 receptor blockers with minimal sedating effect. We have compared the efficacy and side effect of cetirizine and terfenadine, another Hl receptor in patients with dermographism. Method : Forty patients over 15 years suffering from dermographism were enrolled in this study. Pati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receive either crtirizine 10mg once in the evening, or terfenadine, 60mg twice daily for 1 week. Mean wheal diameters were measured by Dermographometcr with pressure of $4800G/cm^2$ before and after treatment. One week after treatment, subjective improvement assessment were recorded by the investigator and patients, and side effects. Results : 1) Cetirizine reduced wheal diameter significantly compared with terfenadine. 2) Cetirizine showed better therapeutic responses in subjective assessment evaluated by investigater and patients. 3) The occurrence of side effect was rare in the cetirizine group. Conclusion : Cetirizine 10mg daily produced a significant reduction in both reduction rate and subjective improvement without unwanted severe side effect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