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 Hodgkin 림프종과 동반된 교착성 세기관지염

Constrictive Bronchiolitis Accompanied By Non-Hodgkin's Lymphoma

  • 이계영 (단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지영구 (단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최영희 (단국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 명나혜 (단국대학교 의과대학 해부병리학교실) ;
  • 김건열 (단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Lee, Kye You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Dankook University) ;
  • Jee, Young Ko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Dankook University) ;
  • Choi, Young Hi (Department of Radiology College of Medicine, Dankook University) ;
  • Myong, Na Hye (Department of Pathology College of Medicine, Dankook University) ;
  • Kim, Keun Youl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Dankook University)
  • 발행 : 1996.08.30

초록

교착성 세기관지염은 매우 드문 소기도질환의 하나로서 변리학적으로 증식성 세기관지염과 더불어 폐쇄성 세기관지염의 양축의 하나를 점하고 있다. BOOP로 대표되는 증식성 세 기관지염은 임상경과가 비교적 빠르고 방사선학적으로도 간질성 또는 폐포성 음영 을 동반하는 비정형 폐렴과 유사한 발현을 보이므로 실제의 빈도가 적지 않다는 점은 제외하더라도 비교적 쉽게 의심하고 진단에 이를 수 있는 질환인 반면, 교착성 세기관지염은 그 빈도 자체가 매우 드물 뿐더러 방사선 소견이 거의 정상이고 폐기능검사 소견도 폐쇄성 양상을 보이므로 임상적으로 대개는 만성폐쇄성폐질환으로 간과되기 쉬운 질환으로써 그 진단이 쉽지 않다. 치료적인 면에서도 증식성 세기관지염이 부신피질호르몬제에 대해 극적인 반응을 보이는 반면 교착성 세기관지염은 세기관지벽 전체가 섬유성 반흔으로 대치되어 비가역성 기도폐쇄가 초래하는 병리학적 특성이 시사하는 바와 같이 치료에 대한 반응이 매우 미약한 치명적 질환이다. 그 원인으로서는 증식성 및 교착성 세기관지염 모두에서 독성 물질에 의한 흡입성 폐손상, 약제성, 감염성, 교원질환 관련성, 장기 이식 후등 선행 요인이 있는 경우와 원발 요인이 없는 경우를 특발성이라 한다. 같은 선행 요인에 의해 두가지 다른 질환군이 초래된다는 사실에서 이들이 같은 질환의 한 spectrum상에 있다는 설명도 있고, 여러 원인에 대해 같은 조직 소견이 관찰된다는 점에서 질환 특이적 병리 소견이라기보다는 비특이적 조직 반응의 하나라는 설명도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추후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저자 등은 비 Hodgkin 림프종을 진단 받은 동일한 시점에서 비교적 빠르게 진행하는 만성기도폐쇄 양상을 나타내고, 만성폐쇄성폐질환에 대한 위험 인자가 없고 흉부 방사선 소견상 정상소견을 나타내는 47세 여자 환자에서 개흉폐생검을 실시하여 교착성 세기관지염을 진단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상기한 선행 요인이 확인되지 않아 특발성이라 판단되며, 악성 종양, 특히 림프종과의 관련성 여부에 대해서는 현재로서는 확언하기 어렵고 향후 연구가 필요한 사항이라 생각된다.

Constrictive bronchiolitis, one of small airway diseases, is very rare and occupies one of the two arms of bronchiolitis obliterans together with proliferative bronchiolitis. Proliferative bronchiolitis, presenting the prototype with bronchiolitis obliterans with organizing pneumonia(BOOP), can be easily taken into diagnostic consideration in terms of relatively rapid clinical course and radiologic presentation as if atypical pneumonia with interstitial and alveolar infiltrations. Meanwhile constrictive bronchiolitis is not only very Tare but also easily overlooked as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s such as emphysema, because it usually shows normal chest radiographic finding and obstructive pattern in pulmonary function test. In the aspects of the response to treatment, proliferative bronchiolitis showed dramatic response to the corticosteroid while constrictive bronchiolitis is intractable, which is easily explained on the basis of the pathologic characteristics of cicartrical replacement of bronchiolar walls. The bronchiolitis, both proliferative and constrictive, can be associated with diverse conditions such as inhalational injury, postinfectious process, drug of chemical induced reactions, connective tissue diseases, and organ trasplantation. And there is idiopathic type which has no associated condition. There is one explanation that both types of bronchiolitis lie on the same disease spectrum because the different disease pattern can be evoked from the same etiology. In contrast, another explanation is suggested that both types of bronchiolitis are one of nonspecific tissue reaction rather than a disease specific histologic finding because the various types of causes can provoke the same histologic findings. These dilemma remains for further investigation. With literature investigation, the authors report a case of constrictive bronchiolitis proven by open lung biopsy in 47 year old female who was diagnosed as non-Hodgkin's lymphoma and simultaneously had relatively rapid progression of airflow obstruction and showed negative radiographic finding without the rise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chronic obstructive lung disease. We consider it as idiopathic because we could not find any relationship between constrictive bronchiolitis and non-Hodgkin's lymphoma on the literature search and it requires further investigatio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