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한 한국 성인남성의 자가약물복용력에 따른 간기능 장애 발생여부 조사

Association of Liver Dysfunction with Self-Medication History in Korean Healthy Male Adults

  • Bae, Jong-Myon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Park, Byung-Joo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Moo-Song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Ulsan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Dong-Hyun (Department of Social Medicine, Hallym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Shin, Myung-Hee (Samsung Hospital) ;
  • Ahn, Yoon-Ok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발행 : 1996.12.01

초록

연구배경 : 약물복용에 관한 엄격한 규제가 없는 국내 의료현실상, 각종 건강에 관련된 약물이 범람하고 있어 약물 오 남용에 따른 심각한 약물부작용의 발생 가능성이 클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건강한 성인 남성에서 영양제, 한약을 포함한 자가약물복용에 따라 간 기능 장애를 유발하는지를 코호트 내 환자-대조군 연구로 알아보았다. 방법 : ' 서울코호트' 대상자 중 (1)1990년도 정기 건강검진의 혈청결과상 HBsAg이 음성이면서 AST, ALT 모두 40 IU/L 이하인 대상자 (2) 1990년도 입원진료청구 전산자료상 간질환을 포함한 각종 질병으로 수진받은 적이 없는 자 (3)설문서 응답내용상 1991년 한해 동안 각종 질병이 발생되어 해당 약물을 복용한 적이 없는 자 (4)1992년도 정기 건강검진상 종합소견이 정상이면서 혈청검사상 HBsAg 음성인 자로 국한하여 본 연구를 위한 새로운 코호트를 구축하였다. 2년간의 추적조사 결과 1992년도 검사치상 AST/ALT 모두 40 IU/L 이상이면서 1990년도 AST/ALT에 비하여 100%이상 상승한 경우를 '간효소치 상승군(case group)'으로 정하였고, 반대로 1992년도 검사치상 AST/ALT 모두 40 IU/L 미만이면서 1990년도 ALT/ALT 에 비하여 상승 정도가 100% 미만인 경우를 '대조군(control group)'으로 하여, 약물복용과의 관련성을 카이자승법과 로지스틱 회귀법으로 알아보았다. 결과 : '간기능치 상승군(n=30)'은 대조군(n=2,625)' 에 비하여 44세 이하가 많았고, 경제수준이 높았으며 보다 비만하였으나 교육수준, 직업, 가족력, 수술력, 방사선 촬영력, 침구이용력, 흡연 및 음주습관에서 차이가 없었다. 약물복용에 있어서는 간장제와 한약복용은 차이가 없었으나, 스쿠알렌, 알로에 등의 건강보조식품 복용력은 '간기능치 상승군'에서 유의하게 많았다. 단변수 분석에서 유의성을 보인 변수들을 보정하여 보았을 때도 건강보조식품 복용력은 여전히 통계적 유의성을 잃지 않았다. 결론 : 본 연구결과는 건강인이라 하더라도 '건강보조식품'의 임의 복용은 간기능 장애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아진다. 따라서 현재 '건강보조식품'의 사용이 급증하는 추세 속에서 치료제가 아닌 보조식품으로써의 '건강보조식품'이라 하더라도 장기간 임의 복용에 따라 어떤 부작용이 얼마나 발생할 것인지에 대한 연구가 향후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Background: Korean people could abuse healthy foods as well as medications, which might cause serious side effects. The aim of this study was elucidating liver dysfunction due to the self-medications of hepatotonics, healthy foods and herb medications by nested case-control study. Methods: Study subjects were drawn from male members of Seoul Cohort Study who were recruited by self-administered structured questionnaire survey through mailing to the healthy men between the age of 40 and 59 years through the program of biennial health check-up offered by Korea Medical Insurance Corporation(KMIC). The liver dysfunction was defined as the level of serum AST and ALT above 40 IU/L and increased in more than one hunderd per-cent during the 2 year follow-up period. To estimate the odds ratio between self-medication and liver dysfunction after controlling for potential confounders, logistic regression was performed. Results: During the follow-up period, 30 members were identified to fit into case criteria and 2,625 members were selected as control. In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history of healthy foods intake, age under 45 years, obesity, and habit of regular exercis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iver dysfunction. The following factors exhibite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take of hepatotonics, of herb medicine; history of disease in family, of operation, and of radiologic examination; smoking habits and drinking amounts. Conclusion: The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the intake of healthy foods and the liver dysfunction illustrates that chronically optional overuse of healthy foods might bring to hazards to health. As the increasing trend of the size of purchasing healthy foods in Korea, pharmacoepidemiologic studies evaluating the safety and efficacy of the widely used healthy foods should be performed in the near futur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