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ochemistry of the Daebo Granitic Batholith in the Central Ogcheon Belt, Korea : A Preliminary Report

중부 옥천대에 분포하는 대보 화강암질 저반의 화학조성 : 예비보고서

  • Received : 1996.05.15
  • Published : 1996.08.30

Abstract

The tectonic environment and source characteristics of the Daebo granitic batholith in the central Ogcheon Belt were investigated based upon major and trace element geochemistry. The batholith is comprised of three granite types; a biotite granite (DBBG), K-feldspar megacryst-bearing biotite granite (DBKG), and a more mafic granodiorite (DBGD). The variations of Na and K in the granites can not be explained by simple fractional crystallization from the same primary magma. The irregular behavior of these alkali elements indicates a variety of source materials or incomplete mixing of different source materials. The large ion lithophile (LIL) element enrichment and low Ta/Hf ratios of the granites are typical characteristics of normal, calc-alkaline continental arc granitoids. Based upon REE patterns of the granites, it seems to be unreasonable to regard the felsic DBBG as a late stage differentiate formed by residual melts after the fractionation of major constituent minerals of the more mafic DBGD. Inconsistent variations in ${\varepsilon}_{Nd}(t)$ and LIL element concentrations of the granites preclude a mixing model between primitive melt and LIL element-enriched upper crustal materials. The irregular geochemical variation of the granites is taken to be largely inherited from an already heterogeneous source region.

중부 옥천대에 분포하는 대보 화강암질 저반의 주원소, 미량원소 조성으로부터 조구조환경과 기원물질의 특징을 연구하였다. 화강암류는 흑운모 화강암, 조립질 반상화강암 및 화강섬록암으로 나눌 수 있다. 화강암류의 불규칙적인 Na, K 함량변화는 분별정출작용만으로 설명될 수 없고 기원물질의 불균질성이나 다양한 기원물질의 불완전한 혼합을 반영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대보 화강암에서 나타나는 친석 원소(LIL element)의 부화와 낮은 Ta/Hf비는 정상적인 칼크 알칼리 계열의 대륙 연변부 호 화강암의 특징과 부합된다. 희토류원소 변화양상으로 보아 $SO_2$ 함량이 높은 흑운모 화강암을 보다 염기성인 화강섬록암의 후기 분화체로 보기는 어렵다. 대보 화강암의 ${\varepsilon}_{Nd}(t)$값과 친석 원소의 함량은 서로 체계적인 변화를 보이지 않아 그들의 지화학적 특징이 초생적인 용융체와 지각 물질 사이의 혼합에 의해 규정되었을 가능성을 배제한다. 대보 화강암의 지구화학적 특징은 주로 기원물질의 고유한 불균질성을 반영한다고 보아진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