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omparative Evaluation of Plant Species Diversity in Forest Ecosystems of Namsan and Kwangneung

남산(南山) 및 광릉(光陵) 산림생태계(山林生態系)의 식물(植物) 종다양성(種多樣性)의 비교 (比較) 평가(評價)

  • Received : 1996.07.13
  • Published : 1996.12.31

Abstract

Namsan area supposed to be a disturbed ecosystem and Kwangneung area considered to be a natural ecosystem were selected for the study. On the basis of the plant species composition, the study was planned to examine structural plant species diversity so as to provide basic ecological information to restore more stable and healthy ecosystem for Namsan. The stratified sample plot method was employed for collecting vegetation data, establishing $20m{\times}20m$ square plots for overstory trees, $4m{\times}4m$ plots for mid-story woody plants, and $1m{\times}1m$ plots for ground vegetation. The herbaceous plants were periodically investigated by taking into account for seasonal(spring, summer, and autumn) variation in presence. Ecological attributes were evaluated through analyzing species composition, species diversity, life forms, interspecies association, and growing habitat for various forest types, vertical layers, life forms, and seasonal variation. Even though the species diversity index of canopy trees in the deciduous forest of Namsan was estimated higher than that of the natural forest of Kwangneung, overall species diversity of plants in Kwangneung area was greater than that in Namsan area. Herbaceous plants presented in Kwangneung but not in Namsan were Aconitum pseudo-proliferum, Botrychium virginianum, Dryopteris tokyoensis, Scutellaria insignis, Tricyrtis dilatata, and Viola kamibayashii, most of them were endemic species of Kwangneung. Elaeagnus umbellata, and Prunes padus var. seoulensis were found only in Namsan. Such species typically composed of the natural deciduous forest as Acer mono, Acer triflorum, Carpinus laxiflora, Cornus controversa, Fraxinus mandshurica, and Phellodendron amurertse were limited growing in a small size of area in Namsan. The future project should be made for encouraging the growth and expansion of the distribution of such species to restore biodiversity in Namsan area.

훼손된 생태계(生態系)로 간주한 남산(南山)과 비교적 자연생태계(自然生態系)를 유지하고 있는 광릉(光陵)을 대상으로 식물종의 구성 상태를 중심으로 각 지역의 구조적인 식물 종다양성(種多樣性)을 파악하고 훼손된 생태계로 간주한 남산(南山)에 대하여 장차 자연 상태의 생태계로 복원하는데 필요한 여러 가지 생태적(生態的) 정보(情報)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상층(上層) 식생(植生)은 $20m{\times}20m$, 중층(中層) 식생(植生)은 $4m{\times}4m$, 하층(下層) 식생(植生)은 $1m{\times}1m$의 정방형(正方形) 표본구(標本區)를 설정한 계층표본구법(階層標本區法)을 적용하여 목본(木本)과 초본식물(草本植物)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초본 식물은 봄, 여름, 가을의 종(種) 출현의 변화를 감안하여 계절별로 조사하였다. 임형(林型)별, 수직 구조상의 층별, 계절별로 출현하는 식물종을 바탕으로 종구성(種構成) 상태(狀態), 종다양성(種多樣性), 생활형(生活型) 다양성(多樣性), 종간(種間) 상관관계(相關關係), 종(種)별 서식지(棲息地) 평가 등의 분석을 통하여 식물종과 관련되는 산림(山林) 생태계적(生態系的) 속성(屬性)들을 검토하였다. 남산(南山) 관엽수림(關葉樹林)의 상층 임관을 구성하는 임목의 종다양성(種多樣性) 지수(指數)는 광릉(光陵) 천연림(天然林)의 상층 임목의 종다양성 지수보다 높게 조사되었으나, 전반적인 식물의 종다양도는 광릉(光陵) 지역이 남산(南山) 지역보다 높게 나타났다. 선정된 초본(草本) 식물(植物) 중에서 광릉(光陵) 지역에서만 출현하고 남산(南山)에서는 찾아볼 수 없었던 것으로는 개싹눈바꽃, 늦고사리삼, 느리미고사리, 광릉골무꽃, 뻐꾹나리, 그리고 광릉제비꽃 등으로 광릉(光陵) 지역의 특산종(特産種)이 대부분이었다. 목본(木本) 식물(植物) 중에는 보리수나무 그리고 서울귀룽나무가 남산(南山)에서만 조사되었고, 고로쇠나무, 복자기나무, 서어나무, 층층나무. 들메나무, 황벽나무 등 천연 활엽수림의 전형적인 수종이 출현하더라도 그 생육지가 극히 작은 면적 혹은 일부분에 국한되었다. 장차 남산(南山) 지역의 생물다양성(生物多樣性)을 복원하는 차원에서 이와 같은 식물(植物) 종(種)의 분포(分布) 영역(領域)이 확대되는 방향으로 이끌어 나갈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환경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