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nges of Forest Soil and Herb Layer Composition by Group Breeding of Herons

백로(白鷺)와 왜가리의 집단번식(集團繁殖)에 의한 삼림토양(森林土壤) 및 초본층(草本層) 구조(構造)의 변화(變化)

  • 문형태 (공주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 남미숙 (공주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 조삼래 (공주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Received : 1996.05.06
  • Published : 1996.09.30

Abstract

Community structure and soil properties of larch forest which are used for breeding site by herons were studied at Apgogri, Hoengsung, Kangwon Province. This site has been protected as a Natural Monument(No. 248) from 1973, in Korea. Herons have used this habitat from February to October every year. In 1995, more than 700 herons were observed in this habitat. Most of the larches died due to group breeding of herons, and no larch saplings were found at forest floor. Nutrient contents of soil in this habitat were much higher than those in control plot(non-breeding site). This must be due to the addition of faeces from herons and of thin twigs and other organic materials from the canopy and bird nests. Species composition of herb layer in this habitat was quite different from that in control plot. Breeding site was dominated by Humulus japonicus, Persicaria fauriei, Persicaria perfoliata, Commelina communis, Chelidonium majus var. asiaticum, Digitaria sanguinalis, Bidens bipinnata. Dioscorea batatas which are indicator species of soil eutrophication. Similarity index of shrub and herb layer between the breeding site and control site was 0.36 and 0.07, respectively.

강원도 횡성(橫城) 압곡리(鴨谷里)의 백로(白鷺)와 왜가리 집단서식(集團棲息)이 삼림생태계(森林生態系)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 지역은 1973년부터 천연기념물(天然記念物) 248호로 지정되어 보호되고 있는 곳으로 1995년 조사에 의하면 700개체 이상의 백로(白鷺)와 왜가리가 서식(棲息)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조류(鳥類)의 집단서식(集團棲息)으로 교목인 잎갈나무들이 대부분 고사하였고, 실생에 의한 보충은 얼어나지 않았다. 서식처 잎갈나무군락의 토양 영양염류(營養鹽類) 함량은 대조구(對照區) 잎갈나무군락에 비해 현저히 높았다. 이것은 주로 조류의 배설물(排泄物), 수관층(樹冠層)과 둥지에서 떨어진 잎과 가지의 분해에 기인(起因)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집단서식지(集團棲息地)의 교목이 고사(枯死)함에 따라 임상(林床)에 투과되는 광량이 증가하여 초본층의 식물종이 대조구(對照區)와 현저한 차이가 있었다. 부영양화(富營養化)된 서식지에는 환삼덩굴, 가시여뀌, 며느리배꼽, 닭의장풀, 애기똥풀, 바랭이, 도깨비바늘, 마 등이 우점(優點)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집단번식지와 대조구 잎갈나무군락의 관목층과 초본층의 유사도 지수는 각각 0.36, 0.07이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