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Raclamaton of tidal flats has been practiced in Korea since the fifteenth century mainly for agiculatural porposes. The total area of reclaimed lands in 1994was estimated to be 400 k$m^2$ which corresponds to 2% of the national farm land. Recently, reclamation has been undertaken extensively, and such a huge projects as Samemankum Development will add over 401k$m^2$ by 2004. The impact of coastal reclamation on the environment is enormous. Most of them are presumably instrumental in causing local changes of coastal ecology. Reclamation is expected to be undertaken continuosly and adverse effects are expected. The authors ineended to identify the impacts of reclamation on the study area, to seek the causes of the environmental prolems of Shiwha-District Reclamation, and to analyze it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to for environmentally sound sustained development.
한국에서의 간척사업은 15세기 이후 주로 농업적인 목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1994년 현재 간척사업의 총 면적은 한국 농경지의 2%에 해당하는 $400km^2$ 정도이다. 최근의 간척사업은 2004년 완공 예정인 새만금지구 개발($401km^2$과 같이 대규모로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간척사업이 주변의 환경변화에 미치는 영향은 막대하여, 해안지형의 변화뿐만 아니라 해양 생태계 변화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런한 간척사업은 앞으로도 계속 이루어질 예정이며, 또한 그에 따른 악영향이 발생할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시화지구 간척사업으로 인한 그 주변환경에서의 영향ㅇㄹ 규명하고 시화 간척사업에서의 환경적 문제점들의 원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시화지구의 간척사업은 주변의 토지이용에 영향을 미쳐, 도시적 토지이용 면적이 1985년 $52.4km^2$에서 1994년에 $199.9km^2$로 급격히 증가한 반면, 녹지 면적은 $258.5km^2$에서 $185.7km^2로 감소하였다. 이에 따라 오염원도 급격하게 증가하여 담수호의 심각한 오염과 같은 악영향이 나타나고 있다. 즉, 시화호의 수질은 공업용수의 기준에 해당하는 호소수질기준 V등급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저서생물의 개체수가 1981년 1,110개체/$m^2$에서 1995년에는 627.9개체/$m_2$로 크게 감소하였고, 1994년 부터는 오염지표종인 Polydropra sp.과 Capitella capitata가 발견되기 시작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