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적이동이 자기공명영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hemical Shift on MR Imaging

  • 김경민 (한양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물리학과) ;
  • 김영진 (한양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물리학과)
  • 발행 : 1996.06.01

초록

정상조직과 지방조직의 화학적 결합의 차이는 화학적 이동 artifact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화학적 이동으로 생긴 결과는 주로 공명신호 위치의 부정확으로 나타나지만 횡적완화시간의 변화도 일으키게 된다. 물분자 수소원자핵의 횡적완화시간 T$_2$ 과 지방분자 수소원자핵의 횡적완화시간 T$_{2}$$^{*}$ 를 신호대 잡음비, 신호응답도, 그리고 영상시간에 각각 넣어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신호대 잡음비와 신호응답도는 각각 약 5%와 8%가 감소하였고, 영상시간은 약 10% 가량 증가하였다. 따라서, 화학적 이동은 영상의 왜곡 외에도 영상과정의 효율을 저하시킴을 알았다.

The chemical bond differences between a normal tissue and a fat tissue make a chemical shift artifact which is caused by a primary inacuracy of resonance signal location. The chemical shift also makes a variation of the transverse time T$_2$. An attempt is made to compare the values of SNR(Signal-to-Noise Ratio), the signal response, and the imaging time computed by applying T$\sub$2/$\^$*/ for a fat-proton with ones of those computed by applying T$_2$ for a water-proton under the conditions of T$_1$/T$_2$=3 and T$\sub$2/$\^$*/T$_2$=0.9. The results of the attempt show that the first two reduce to 5% and 8% out of 100%, respectively, and the last rather increases up to 10%. This shows that the chemical shift contributes to the deterioration of an MR imaging efficiency in addtion to the image distortio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