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toration and Status of Urban Ecosystem in Seoul - Plant Community Structure in Forest Area -

서울 도시생태계 현황과 회복대책(I) - 산림지역 식물군집구조 -

  • 이경재 (서울시립대학교 문리과대학) ;
  • 조우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
  • 한봉호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 Published : 1996.08.01

Abstract

To investigate the plant community structure and to establish restoration counterplan of forest area in Seoul, fifty six plots(each size was 400m$^{2}$) were set up and surveyed. According to analysis DCA ordination techniques, the communities were divided into six community, P. rigida community, Populus * albagladulosa community, Quercus acutissima community and Q. monholica community. The successional trend of forest area in Seoul was seem to Pinus densiflora, Robinia pseudoacacia, P. rigida, Populus * albagladulosa, Wuercus acutissima$\longrightarrow $Q. mongolixa, Q. serrata by analysis of plant community structure. Shanon's diversity was 1.1381~1.2694 and Soil pH was 3.18~4.76 in survey sites.

서울시 도시생태계 중 산림지역 식물군집구조를 분석하고 이의 대책을 수립하기 위하여 14개지역 56개 조사구(1개 조사구당: 400m$^{2}$)를 설치하고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전체 56개 조사구는 DCA에 의하여 소나무군집, 아까시나무군집, 리기다소나무군집, 현사시나무군집, 상수리나무군집, 신갈나무군집 6개 군집으로 분리되었다. 식물군집구조 분석결과 추정되는 천이경향은 소나무, 아까시나무, 리기다소나무, 현사시나무, 리기다소나무$\$\longrightarrow$ $ 신갈나무, 졸참나무로 추론되며 극상수종인 서어나무로의 천이경향은 환경오염영향 등의 원인으로 판단하기가 어려웠다. Shannon의 종다양도는 1.1381~1.2694이었고 토양산도는 전지역이 pH 3.18~4.76으로 산성토양이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