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ends of fashion journalism - An analysis under fashion article in magazines of korea -

우리나라 잡지의 패션기사를 통해 패션저널리즘의 동향

  • 김영숙 (청주대학교 예술대학 의상디자인 학과)
  • Published : 1996.10.01

Abstract

In an attempt to teace trands in fashion journalism based on the examination of recent fashion magazines in korea, this study has dealt with the followings: the number of articles on fashion, image of fashion, characteristics of articles, change in "coordinate" and titles, and length of time of publi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ollow: 1. Among the general magazines for ladies whose titles have been changed, those dedicated to the "Ms class" have increased the pages on fashion and coverage of casual brand: those for housewives have shown no change in contents despite the change in titles, 2. The length of time of publication does not affect the change in the number of articles on fashion. General magazines for ladies have shown the greater "coordinate" in articles on fashion. 3. In terms of the contents of articles on fashion, those devoted to fashion and clothing are specialized and innovation-oriented, whereas general magaines stress the provision of more practical information. 4. The emergence of the X-generation and the newer generation has resulted in positioning of clothing crand, making them chief tarhet readers.ing them chief tarhet readers.

현대사회는 정보사회이다. 오늘날의 패션산업은 정보의 산물이라고 이를 정도로 라디오, 텔레비젼 그리고 신문이나 잡지와 같은 다양한 정보매체에 의하여 전파되고 있다. 패션저널리즘이란 저널리즘의 한 분야로서 출판이나 방송 등 정보매체를 통해 패션에 관한 정보나 의견을 대중들에게 전달하는 활동을 이른다.1) 이미 영국과 같은 유럽 패션 선진국에서는 오래 전부터 패션저널리즘이 저널리즘의 한 분야로 정착되기 시작하였고 10년 전부터는 의상디자인 학과 내에 패션저널리즘 전공프로그램이 설정되어 신문, 잡지 등 저널리즘에 종사하는 패션저널리스트를 배출하는데 큰 몫을 담당하고 있으며 아울러 실무에 종사하고 있는 기자들의 재교육 프로그램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우리 나라의 여성잡지는 패션정보의 공급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해 왔다 할 수 있으며 패션화보 기사를 처음 다룬$\boxDr$여원$\boxUl$을 효시로 하여 그 역사가 40년에 이른다. 본 연구는 우리 나라 패션저널리즘을 체계화할 필요성에서 시작되었으며 일반 대중을 대상으로 한 우리 나라의 패션관련잡지의 성향과 구성내용을 분석 하므로써 패션저널리즘의 동향을 파악하여 우리 나라 패션저널리즘의 틀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은 최근 간행된 패션관련잡지에 실린 패션기사를 대상으로 하여 패션기사 량, 패션이미지, 패션기사의 성격을 정량적, 정성 적으로 비교 분석하고 잡지의 제호 변경이 패션 기사내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여성지의 패션기사는 패션저널리즘의 역사적 발전 과정에서 점차 그 위치를 확고히 구축해 가고 있는 것이 발견되었는데, 결론적으로 우리 나라 패션저널리즘은 정보의 전문화, 독자 연령층의 하향화, 외국잡지의 국내 정착화의 과정에 놓여 있는 것이 뚜렷이 발견되고 있었다. 본 논문은 의상브랜드의 브랜드 포지션 닝을 통해서 패션저널리즘의 동향을 대상연령층과 패션이미지의 상관 관계로 정립해보고자 시도해 본 적이며 패션저널리즘 교육의 전문화와 패션저널리즘에 대한 지속적이고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