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ariation of rachis branches in rice varieties with different maturing types by various planting times.

벼 작기이동에 따른 조만성별 수상의 착생변이

  • Published : 1996.12.01

Abstract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variation of adhering primary and secondary rachis branches of panicle in three ecotypes at National Honam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in 1993. Three ecotypes. Odaebyeo and Sinunbongbyeo as early-maturing type, Cheongmyeongbyeo and Changanbyeo as medium, and Dongjinbyeo and Mangeumbyeo as late-maturing type were used. The treatment were 5 planting times from May 5 to 5 July by 15 day intervals. The number of primary rachis branch in early maturing type recorded high in between May 5 and 20 May as early transplanting. Medium and late-maturing type, however, was found to be have more primary rachis branches at the late time of June 20 transplanting than at the optimum transplanting of Honam area. The number of secondary rachis branch was high between June 5 and 20 June regardless ecotypes. The rate of secondary rachis branch per primary rachis branch was increased with later transplanting time up to June 5, but showed no differences onwards. The number of grain in primary and secondary rachis branches were low in transplanting time of May 5 regardless ecotype but high in late transplanting time by July 5. Densinty of seed sets was found to be higher in late transplanting than in early transplating;early-maturing type showed high in July 5 and 20 June in medium-late maturing type respectively.

조만성(早晩性) 차이가 뚜렷한 한생종(旱生種)으로 오대(五臺)벼와 신운봉(新雲峰)벼, 중생종(中生種)으로 청명(淸明)벼와 장안(長安)벼, 만생종(晩生種)으로 동진(東津)벼와 만금(萬金)벼 둥의 6개 품종을 가지고 호남농업시험장(湖南農業試驗場) 수도도장(水稻圖場)에서 1993년 5월 5일부터 7월 5일까지 15일 간격으로 5회에 걸쳐 작기이동으로 이질(移秩)하여 1,2차(次) 지경(枝梗)과 수상(穗相)의 착생변이(着生變異)에 대한 특성을 비교 검토하였던 바 다음과 같다. 1. 익산지방의 적기이앙(移秧)인 6월 5일 기준으로 조생종(早生種)의 1차지경수(次枝梗數)는 5월 5일 이앙(移秧)부터 5 월 20일 이앙(移秧) 사이의 조기이앙(移秧)에서 많았으며 중(中), 만생종(晩生種)은 적기이앙(移秧)보다 약간 늦은 6 월 20일 이앙(移秧)에서 가장 많았다. 2. 2차지경수(次枝梗數)는 조만성(早晩性)에 관계없이 6월 5일 이앙(移秧) 부터 6월 20일 이앙(移秧)사이에서 많았으며 1차지경수당(次枝梗數當) 2차지경수(次枝梗數)의 증가율(增加率)은 5월 5일 이앙(移秧)에서는 낮았으나 5월 20일 이앙(移秧)에서 급격히 증가(增加)하였고 조생종(早生種)은 6월 20일, 중생종(中生種)은 6월 5일에 최고(最高)에 달했으나 만생종(晩生種)은 6월 5일 이후 큰 차이가 없었다. 1차(次) 및 2차지경(次枝梗) 착생립수(着生粒數)은 조만성(早晩性)에 관계없이 5월 5일 이앙(移秧)에서 적었지만 7월 5일 이앙(移秧)인 만기이앙(晩期移秧)에서 많이 착생하는 경향이었다. 4. 착립밀도(着粒密度)도 5월 5일 이앙(移秧)보다는 만기이앙(移秧)에서 높은 경향이었는데 조생종(早生種)은 7월 5일 이앙(移秧)에서 높았지만 중(中), 만생종(晩生種)은 6월 20일 이앙(移秧)에서 높았다.간(晩期刈取乾草區間)의 소화율(消化率)을 비교하면 1%수준(水準)의 유의차(有意差)가 있었다.TEX>를 첨가(添加)하므로서 양질(良質)의 silage를 생산(生産)할 수 있다고 사료(思料)된다.향이 없었으나 골목 $m^3$당 접종량(接種量) 4.0kg구가 1.63g로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과(結果)를 종합(綜合)해 보면 전호(前胡)의 용도별(用途別) 적정(適正) 재식거리(栽植距離)는 채소형(菜蔬型) $30\times20cm$, 약재형(藥材型) $60\times30cm$, 채소(菜蔬) 약재(藥材) 복합형(複合型) $45\times20cm$에서 지하부(地下部) 생육(生育)이 양호(良好)하면서 생엽(生葉) 및 건근(乾根) 수량(收量)이 증수(增收)되는 경향(傾向)을 보였다.퇴비(堆肥) 등(等) 유기질(有機質) 비료(肥料) 시용(施用)이 효고적(效果的)이었다.DS-PAGE법(法)으로 단백질(蛋白質) 양상을 등숙시기별(等熟時期別)로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두 계통간(系統間) 질적(質的)인 차이(差異)는 보이지 않았으나 시기별(時期別)로는 양적차이(量的差異)를 나타냈다.間)에는 부(負)(-)의 상관(相關)이 있다.($P{\leq}0.01%$). 5. NEL 및 starch value 환경온도(環境溫度)가 상승(上昇)됨에 따라 감소(減少)된다. 4 엽기(葉期) sorghum식물(植物)의 환경온도(環境溫度)를 달리 하였을 때 NEL가치(價値)는 각각(各各) 4.87MJ($30/25^{\circ}C$), 5.46MJ($25/20^{\circ}C$) 및 5.81MJ/kg($18/8^{\circ}C$)로 변(變)하여 고온(高溫)에서

Keywords

References

  1. 서울대학교 농학박사 학위논문 水稻에 있어서 Source 및 Sink 관련 형질의 遺傳과 選拔에 關한 연구 崔海春
  2. 韓作誌 v.31 水稻發熱期間中 Sink 充塡의 經時的 變學와 그 品種間 差異 崔海春
  3. 한작지 v.40 no.별2 벼의 숙기가 다른 몇가지 품종의 작기이동에 따른 미질변이 고재권;신현탁;이선용;심재성
  4. 日作東北支部報 v.34 水稻の發熱に關する硏究. 2. 粒着密度を異にする水稻品種の登熱步合 について 工藤啓一
  5. 日作紀 v.40 水稻の收量成立原理とその應用に關する作物學的硏究. 第 100報 穗相による稻作診斷(3) 1,2次 枝梗上の分化穎花數, 穗長, 實穗長および粒着密度 眞中多喜夫;松島省三
  6. 日作紀 v.51 no.1 水稻の穗の構造の機能に關する硏究. 第4報. 穗 軸節位別 二次梗 數のちがいによる穗型の分類 笹原健夫;兒玉憲一;上林美保子
  7. Japan J. Breed. v.35 Inheritance of panicle types classified by the nodal distribution pattern of secondary spikelets in rice Sarahara,T.;N.Abe;M.Kambayashi
  8. 日作紀 v.60 no.別 穗上位置による米粒及び 穀の變 異. とくに大きさと無機成分含量について 田代亨;涉谷周一;石川雅士;足立修士;今井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