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nges of General Components and Aromatic Constituents in Codonopsis lanceolata Grown at The Native and Cultivated Area

재배장소에 따른 더덕의 일반성분과 향기성분의 조성변화

  • Published : 1996.12.01

Abstract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find aromatic constituent composition of Codonopsis lanceolata species grown in the native(Mt. lrwol, Youngyang, Kyungpuk Province) and the cultivated(Andong, Kyungpuk Province) areas from 1994 to 1995.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Air temperature and soil temperature at the native area were lower to $2{\sim}3^{\circ}C$, and to $2^{\circ}C$ than the cultivated area. Organic matter contents of plant grown at the native area higher than that of plants at the cultivated area by 4.8%. Crude protein content was higher in plant grown at native area than the plant grown in wild area but in case of crude saponin, plants grown at wild area was higher than that of native area. For inorganic element contents. K content is much higher than in the domesticated area as compared with wild area above ten over. And other elements such as Cu, Mn, Na and Mg were not remarkably different in contents. In the free amino acid compositions, argine was highest compared with other free amino acids, and Arginine content was higher in dometicated area. Recovery yield of essential oil of wild species grown at the cultivated showed 0.005%, but domesticated species was 0.004%. But both species at the native area were the same by 0.004%. Although composition of aromatic constituents in the two areas and species varied, total aromatic constituent was 21 kinds. Most aromatic constituents were aliphatic alcohols such as 1-hexanol, eis-3-hexanol, and trans-2-hexanol occupied by approximately 90% over. But three constituets as amylalcohol, furfuryl acetate, and 2-methoxy-4-vinyl phenol(MVP) were detected only in domesticated species.

재배장소(栽培場所)에 따른 야생(野生)더덕 및 재배(栽培)더덕의 기상환경(氣象環境), 생육특성(生育特性), 일반성분(一般成分), 유리(遊離) 아미노산(酸) 및 식물성(植物性) 정유성분(精油成分)을 비교분석(比較分析)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자생지(自生地)는 재배지(栽培地에)에 비하여 기온(氣溫)이 $2{\sim}3^{\circ}C$ 지온(地溫)은 $2^{\circ}C$ 정도(程度)로 낮았고 조도(照度) 량(量낮)은 재배지(栽培地)의 2.9%였다. 자생지(自生地) 토양(土壤)의 pH는 재배지(栽培地)보다 다소 낮았으며 유기물(有機物) 함량(含量)은 4.8%로 1.7배(倍) 정도 높게 나타났다. 2. 자생지(自生地) 재배(栽培)더덕의 개화기(開花期)가 8월(月)3일(日)로 같았지만 재배지(栽培地) 야생(野生)더덕은 재배(栽培) 더덕 보다 10일(日) 늦은 8월(月)15일(日)이었다. 만장(蔓長), 엽장(葉長), 경경(莖徑) 등(等)은 재배(栽培) 장소(場所)와는 무관(無關)하게 야생(野生)더덕에서 저조(低調)하였으나 방향성(芳香性)은 평균(平均) 5로서 재배(栽培)더덕이 평균(平均) 3.5인 것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야생(野生)더덕의 생체중(生體重)은 평균(平均) 11g/주(株)인 것에 비하여 재배(栽培)더덕은 23.5g/주(株딘)였으나 방향성(芳香性)은 재배지(栽培地)에서는 차이(差異)가 없었으나 자생지(自生地)에서는 야생(野生)더덕이 5 정도(程度)로 다소 높은 경향(傾向)을 보였다. 4. 야생(野生)더덕과 재배(栽培)더덕의 재배장소별(栽培場所別) 일반성분(一般性分)의 조성(組成)은 조단백질(粗蛋白質)의 경우(境遇) 재배장소(栽培場所)에 따른 차이(差異)를 보였으며 자생지(自生地)보다 재배지(栽培地)에서 높은 함량(含量)을 보였고 조(粗)사포닌은 재배지(栽培地)보다 자생지(自生地)에서 높은 함량(含量)을 보였다. 5. 무기성분함양(無機成分含量)의 차이(差異)는 K의 경우(境遇) 자생지(自生地)에서 보다 재배지(栽培地)에서 평균적(平均的)으로 10배이상(倍以上) 정도(程度) 높은 함량(含量)의 차이(差異)를 보였으나 Mn, Zn, Na, Cu 등(等)은 일정(一定)한 경향(傾向)을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6. 유리(遊離) 아미노산(酸)의 함량(含量)은 자생지(自生地은)보다 재배지(栽培地)에서 전반적(全般的)으로 높은 함량(含量)을 나타내었고, 특(特)히 Arginine은 다른 성분(成分)들과 비교(比較)해 볼 때 가장 높은 조성(組成)의 차이(差異)를 나타내었다. 7. 야생(野生)더덕과 재배(栽培)더덕의 정유성분수율(精油成分收率)은 자생지재배(自生地栽培)에서는 모두 0.004% 였고 재배지(栽培地)에서는 야생(野生)더덕이 0.005%였다. 8. 더덕의 재배장소(栽培場所)에 따른 향기성분(香氣成分)은 총(總) 21종(種)이었으며 自生地(自生地)에서 야생(野生)더덕은 16종(種), 재배(栽培)더덕은 18종(種)이었고, 재배지(栽培地)에서 야생(野生) 더덕은 14종(種), 재배(栽培)더덕은 20(種)이었다. 9. Trans-2-hexanol은 야생(野生)더덕의 자생지(自生地) 재배(栽培)에서 피이크 면적(面積) 당(當) 50.3%, 재배지(栽培地)에서 피이크 면적(面積) 당(當) 43.3%를 보였으며 amylalcohol, furfuryl acetate, 2-methoxy-4-vinyl phenol(MVP)는 재배(栽培)더덕에서만 확인(確認)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生藥學會誌 v.8 no.2 沙蔘의 Terpenoid 成分에 關한 硏究 鄭普燮;羅燾善
  2. 한국식품공학회지 v.24 no.2 전처리 방법에 따른 더덕의 휘발성 향기 성분 비교분석 김정한;김경례;김재정;오창환
  3. 韓國食品工學會誌 v.17 no.1 自然산과 栽培더덕의 一般成分 및 아미노酸 組成 金惠子
  4. 한국 동식물도감 식물편(유용식물) v.15 이덕봉
  5. 본초학 이상인
  6. 韓國作物學會誌 v.40 no.5 野生 및 栽培더덕의 栽培場所에 따른 生育 및 香氣成分 李承弼;金相國;崔富述;李相哲;金佶雄
  7. 수정증보 사료분석실험 맹원재;윤광로;신형태;김대진
  8. Experiments in organic chemistry Nimitz,J.S.
  9. 한국농화학회지 v.32 no.4 더덕뿌리 중의 휘발성 향기성분 박준영;김영희;김근수;박재진
  10. Introduction to organic laboratory techniques;a contemporary approach Pavia,D.L.;Lampman,G.M.;Kriz,G.S.
  11. 한국의 자생식물도감(초본류) 농촌진흥청
  12. J. Agric. Food Chem. v.5 Schultz,T.H.;R.A.Flath;T.R.Mon;S.B.Enggling;R.Teranishi
  13. 생약학회지 v.26 no.2 세포배양에 의한 더덕 정유의 생산 신승원;최은정
  14. 東洋資源植物學會誌 v.4 더덕(沙蔘)의 栽培方法別 一般成分 및 無機成分에 關한 硏究 申秀徹;李相來;尹義洙;李良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