텃새권 방어와 관련된 휘파람새의 Song Mode와 Mode Sequence의 이용

Does the Bush Warbler (Cettia diphone) Defend Its Territory through a Particular Song Mode or a Mode Sequence?

  • 박대식 (한국교원대학교 생물교육과) ;
  • 박시룡 (한국교원대학교 생물교육과)
  • 발행 : 1996.07.01

초록

한국 휘파람새(Cettia diphone)의 song은 더입부인 whistle부와 종결부인 syllable 의 두 부분으로 구성되며, 그들의 song은 도입부에 나타나는 note의 수에 따라서 2개 이하인 것은 $\alpha$ song mode로 3개 이상으로 구성되어지는 song은 $\beta$ song mode로 분류된다. 개체와 지역에 따라서 차이는 있지만 한 개체가 부르는 전채 song에서 $\alpha$ song mode가 차지하는 비율은 약 55%(51.5-58.7%)이었다. $\alpha$ mode는 $\beta$ mode에 비하여 whistle 부분의 dominant frequency는 높은 반면에, syllable 부분을 구성하는 syllable들의 수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휘파람새의 mode Sequence는 그들의 출현 순서에 따라서 $\alpha$$\alpha$, $\alpha$$\beta$, $\beta$$\alpha$, $\beta$$\beta$의 네가지로 정의되었다. 휘파람새의 지리적 변이 그룹인 south-coastal 그룹 내의 개체군집인 완도와 제주도에 있어서 song mode와 mode Sequence는 그들의 텃세권의 방어를 위하여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가설을 세우고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playback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의 결과 mode Sequence는 실험전 자연 상태에서 녹음되어진 song과 playback의 실험 중에 녹음되어진 song과는 실험이 실시된 두 지역 모두에 있어서 의미 있는 차이를 나타내었다. 특히, 완도의 군집에서의 결과는 song mode의 사용이 서식지, singing site, 텃세권의 공간적인 형태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나아가 song을 통한 텃세권의 방어에 있어서 특정의 mode sequence는 song mode 자체보다 더 중요한 역할을 할 수도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song of the bush warbler, Cettia diphone, consists of an introdudory whisde portion and a complex ending syllable portion. In bush warbiers, a song with two or fewer notes in the whistle portion is classified as an a song mode, while a song with three or more notes in the whistle portion as a $\beta$ song mode. Although some variations occur in mode seledion by individuals and populations, the proportion of a mode songs to total songs is 55% (range 51.6-58.7%) on average. The a mode has a higher dominant frequency in the whistle portion than does the $\beta$ mode, but the number of syllables m the complex ending syllable portion is fewer. Bush warbler mode sequences are defined as $\alpha$$\alpha$, $\alpha$$\beta$, $\beta$$\alpha$ and $\beta$$\beta$ mode sequences. In order to test the hypothesis that song modes and mode sequences play a role in the defence of territory in Jeju and Wando populations in the south-coastal geographic song variation group, playback experiments were executed. Mode sequences differed between naturally produced songs and songs produced in response to playback for two populations. In particular, for birds in the Wando populations our results indicate that the use of song modes may be affeded by habitat, singing site and type of territory, and further propose that particular mode sequences may play a more important role than song mode in vocal interadion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