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전북대학교병원 흉부외과학 교실에서는 1979년 8월부터 1995년 8월까지 73례의 전폐절제술을 시행하였으며, 그 중 폐암이 53례, 폐결핵이 10례, 기관지 확장증이 4례, 기타가 6례 이었다. 73례에서 수술사 망율 및 합볏증을 조사하고 술후 6개월에 53명의 환자에서 폐기능 검사를 시행하여 이에 영향을미치는 인자(나이:성별, 병리소견(양성 또는 악성), 동반질환, 술전 폐기능 검사, 수술시간 등)를 통계학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수술 사망율에 대해서는 술전 최대자발호기량(MW)의 예측치에 대한 백분율(P=0.013)과 수술시간 (P=0.009)이, 술후 합병증에 대해서는 염증성 질환(P=0.015)이, 그리고 술후 6개월후에 시행한 폐기능 검사치에 대해서는 술전 노력성 폐활량의 예측치에 대한 백분율(FVC(%. prod), p=0.0018),술전 1초간 강제 호기량의 예측치에 대한 백분율(FEVI 3%, prod), p=0.0024),술전 최대 자발성 호기량의 예측치에 대한 백분율(MW 3%. prod), p=0.0043) 등이 통계학적으로 의의 있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수술후의 사망율과 합병증을 줄이고 환자의 원활한 활동능력을 얻기 위해 술전의 환자의 전신상태,심혈관계 및 술전의 폐기능과술후의 保맨\ulcorner폐기능에 대한충분한 평가가 있어야 하며, 염증성 질환이 있는 환자는 염증및 분비물의 성상및 정도를 정확하게 평가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From August 1979 to August 1995, 73 consecutive patients with various pulmonary diseases underwent pneumonectomy Underlying diseases were lung cancer(53 cases), pulmonary tuberculosis(10 cases), bronchiectasis(4 cases) and others(6 cases). Operative mortality and complication rate for 73 patients and respiratory capacity for 53 patients at postoperative 6 months were measured, and statistically analysed for the influencing factors. The influencing factors on prognosis included age, sex, pathologic finding (benign or malignant), associated diseases, preoperative pulmonary function test and operation time.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for operative mortality were preoperative MW(% prep)(P=0.013) and operation time(P=0.009). The factors influencing operative complication was infectious disease (P=0. 015), and for respiratory capacity a postoperative 6 months, preoperative FVC(%. prod) (PED.0018), FEVI(%. prod)(P=0.0024), and MW(%. prod) (P=0.004))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The preoperative FVC(%. tyred), FEVI(% . prod) and MW(%. prod) should be measured exactly. We conclude that preoperative lung function, cardiovascular and nutritional status, postoperative care and infection prevention were important factors to decrease the operative mortality and complication as well as to increase respiratory capac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