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한국 지형학은 유럽의 여러 나라에서와 같이 지리학의 주요 분야로서 성장해왔다. 50년전 대한지학회가 출범된 이래 지형학은 지리학에서 괄목만하게 발전된 분야에 속한다. 한국 지형학 발전의 전반부에 해당하는 60년대 말까지의 기간은 제1세대 학자들에 의해 후 진이 양성되고 연구 활동이 주도된 시기라 할 수 있다. 이들의 헌신적인 노력으로 거의 무 에서 출발하다시피한 우리 지형학이 지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터전이 마련되었다. 이를 모태로하여 70년대 이래에는 우리 지형학이 눈에 띄게 성장해올 수 있었다. 이 기간에 연구 인력의 양적 증가는 물론 연구 역량도 다양한 국제교류 및 협력을 통해 괄목할 정도로 향상 되어 왔다. 이러한 여건과 관련되어 근자에는 "한국 지형학회"가 설립되어 활발한 학회활동 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지형학자들의 역할은 "힌국 제4기학회" 등과 같은 통학제적 학 회 활동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60년대 까지의 우리 지형학의 주요 관심사는 한반도의 침식면을 인식하고 해석하는 것이었다. 이 과정에서 W.M. Davis의 "지형윤회설" 과 L.C. King의 "pedimentation이론"이 당시 한국 지형학에 미친 영향이 컸다. 70년대 이래 에는 이들의 영향에서 탈피하여 침식지형면 연구는 기후 지형학의 관점 및 방법론이 자리 잡는데 향도적 역할을 했다. 이와 맞물려 우리 지형학도 최소한의 자족력을 갖출 정도로 연 구 대상이 다양해지고 보다 과학적인 방법이 자리잡히는 경향을 보여 왔다. 이런 추세에서 지형을 어느 특정 Master Theory에 맞추어 연구하기 보다는 있는 그대로의 지형을 세심한 야외 조사와 과학적인 측정 및 분석 결과와 조화시켜 기술.해석하는 경향이 뿌리내리게 되 었다. 이러한 추세에서 기후지형학과 제4기 연구의 관점에서 화강암과 석회암 풍화와 관련 된 중.소 지형, 지형-토양 생성 환경 및 주빙하 현상에 관한 연구가 시간이 흐르면서 더욱 활발해지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한 주요 침식 지형면 (산록완사면, 단 구 등)에 대한 새로운 해석도 많이 시도되어 왔다. 한편 해안 및 평야 지형에 대한 연구도 괄목할 정도로 축적되어 오고 있다. 최근에는 야외 측정치, 실험실 작업을 통해 계량적-분 석적 모델을 제시하려는 시도와 인간 간섭이 지형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이 루어지고 있다.인간 간섭이 지형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이 루어지고 있다.
In Korea, modern geomorphology has developed as one of main subjects in geography, such as in Europe. Geomorphology is one of the most advanced specialties in the geography dicipline, since foundation of Korean Geographical Society in 1945. Untill 1960's study, first generation of the Korean geomorphologists trained the younger ones, together with energetic research activities. Their great works in education and research established the base of ulterier development of the geomorphology in Korea. Since 1970s, research manpower and quality has incresed rapidly, partly due to the various international activities and cooperations of Korean geomorphologists. Owing to above development, Korean geomorphologist was able to found "The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of Korea" in 1990 and publish "Journal of GAK", since 1994. Furthermore, geomorphologists are playing important roles in interdisciplinary academic societies, such as "The Korean Quaternary Assocition". Still 1960s, our research had focused on the identification and interpretation of erosional surfaces in Korea Peninsular. Of course, W.M. Davis's "Geographical Cycle Theory" and L.C. King's "Pedimentation Theory"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Koerans' works. After 1970s, the study of erosional surface played the important role in setting up the morphoclimatic viewpoint and methodology. Research scope tend to be notably broad and various than it was untill 1960's. Disposotion of the scientific methods and techniques become more and more apparent. These trends of research has settled precise descreption and interpretation of actual landforms, based on the careful field works, scientific measuring, and analisis, rather than methodology focused on the particular master theories. Recent geomorphological researches show the scope from climatic geomorphology and Quaternary geomorphology to granite and limestone weathering, pedo-geomorphogenic environment and periglacial landforms, focused on the small-to-medium scales. And then there have been new trying to interprete erosional surfaces such as hillslopes and terraces. Also, studies of coastal and plain landforms have been successfully developed. Recent new trends show the quantitative and analytic modelling using field measurement and laboratory work, and study on the human impacts on the natural landforms.y on the human impacts on the natural landfor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