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productive Cycle in Female Fusilier, Caesio diagramma

농어목 어류, Caesio diagramma 암컷의 생식주기

  • Choi Cheol Young (Department of Aquaculture,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 Chang Young Jin (Department of Aquaculture,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 Takemura Akihiro (Tropical Biosphere Research Center, University of the Ryukyus) ;
  • Takano Kazunori (Tropical Biosphere Research Center, University of the Ryukyus)
  • Published : 1996.02.0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tudy the reproductive cycle in female fusilier, Caesio diagramma by using the histological methods. Histological changes of the ovary were well correlated with the patterns of gonadosomatic index (GSI) and hepatosomatic index (HSI). GSI was increased in April as the value of HSI increase and reached to its maximum in May and June. Oocytes at the chromatin-nucleolus and peri-nucleolus stages were observed in the ovary throughout the year. In April, oocytes containing yolk appeared in ovaries of a few fishes. Most oocytes appearing in May and June belonged to the tertiary yolk stage. Frequency of oocytes appearance at the tertiary yolk stage in May and June was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months. Moreover, the empty follicles and atretic oocytes were observed in the ovaries with many vitellogenic oocytes during these two months. Thereafter, oocytes of the yolk stage disappeared in September. The spawning period of C. diagramma is from the month of April to June, and this species belongs to an asynchronous and multiple spawner.

농어목 어류인 Caesio diagramma의 생식주기를 밝히기 위하여 난모세포의 발달과정을 조직학적 방법으로 관찰하였다. 난모세포의 발달과정은 염색인기, 주변인기, 유구기, 제1차 난황구기, 제2차 난황구기 및 제3차 난황구기의 6단계로 구분되었다. 염색인기와 주변인기의 난모세포는 연중 관찰되었으며, 난모세포 발달과정에서의 특징은 난소 내에서 유구가 초기에 형성되며, PAS 염색 결과 난황포는 타어류에 비하여 크기가 작았고 양도 적었다. 4월에 채집된 어류의 난소에서는 난황 형성기의 난모세포가 출현하기 시작하였다. $5\~6$월의 난소에서는 제3차 난황구기 난모세포가 관찰되었으며, 연중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또한, 이 시기부터 난소의 일부에서는 배란을 마친 여포와 퇴화중인 난모세포도 다수 관찰되었으며, 7월까지 이어졌다. 9월 이후의 난소에서는 난황 형성기의 난모세포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12월까지 염색인기 및 주변인기의 난모세포가 주류를 이루었다. 생식소중량지수(GSI)와 간중량지수(HSI)는 4월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5\~6$월에 최고치에 도달하였으며 GSI와 HSI의 변화는 난모세포의 발달과정과 일치하였다. 따라서 C. diagramma의 주산란기는 $5\~6$월이며, 난소의 발달과정과 여러 형태의 여포가 존재하는 점으로 미루어, 본 종은 비동기발달형의 난소를 가지며 다회산란 어류에 속한다.

Keywords